경북 잠사곤충사업장,‘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

사회부 0 844

 

(7-1)20210420잠사곤충사업장현판식1_(1).jpeg

 

4.20일 잠사곤충사업장 곤충생태전시관에서 현판식 가져
멸종위기곤충 증식·복원으로 생물 다양성 보전 추진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경상북도 잠사곤충사업장은 지난 20일 환경부의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되어 현판식을 개최했다.

 

서식지외 보전기관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야생생물의 서식지외 보전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및 사람과 야생생물이 공존하는 건전한 자연환경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지정 기준은 동물원·식물원 및 수족관, 국·공립연구기관, 기타 환경부장관이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기관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지정 대상종(증식기술 연구, 증식분야 경험), 시설(생물 사육·증식시설, 관리·운영시설 등), 보유인력(관련 전공 및 종사자) 등을 평가한다.

 

잠사곤충사업장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왕은점표범나비의 실내인공증식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19년 대구지방환경청에서 인공증식 증명서를 취득하였다.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연구시험동 등 자체 사육·연구시설과 곤충 관련 전문 인력이 종사하고 있어 지정 기준에 적합하다고 평가받았다.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되면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관련 협회와의 곤충 증식․복원 기술 교류, 공동 연구 프로젝트 발굴, 교육․학술․홍보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왕은점표범나비는 나비목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티베트 동부, 중국,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전형적인 동아시아 고유종 중 하나이다. 뒷날개 바깥 가장자리의 M자 모양 검은 줄무늬 때문에 다른 근연종과 쉽게 구별 된다.

 

학계에서는 최근 도시화 및 서식지 파괴로 인해 국내 왕은점표범나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밝혀져 환경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받아 보호를 받고 있다.

 

김종수 농축산유통국장은 “이번 서식지외 보전기관 지정으로 멸종위기종 보존 연구를 강화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며, “도내 서식 멸종위기곤충 증식·복원을 위한 연구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7-2)20210420잠사곤충사업장현판식1_(2).jpeg

 

 

서식지외 보전기관 신규지정 현황

 

1.jpg

 


  ◈ 지정근거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조
  ◈ 지정일자 : ’21. 3. 26
  ◈ 대 상 종 : 1종(왕은점표범나비)
  ◈ 관할기관 :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 예산지원 : 총 사업비의 일정비율 보조
                (지자체 30%, 민간 50%)
  ◈ 주요내용
    ◦ 멸종위기곤충 증식기술 및 서식지 조성사업 기반 확보
    ◦ 경북도 내 멸종위기곤충 증식·복원 및 전시활용 등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

장 장

김 왕 식

팀 장

박신연

주무관

김영미

054-530-6634

CP

010-6688-9778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