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주 국회의원 "인권위 권고에 따른 직무교육 내실 있게 추진되야!" 주장

사회부 0 2,125

1.jpg

 

인권위 권고 경찰인권교육, 1시간이면 땡!
지적 당사자인 지휘 책임자인 부서장, 관서장이 교육
경찰청 인권정책관 도입 및 외부 인권강사 도입 시급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3선)이 경찰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침해 권고에 따라 18년부터 20년 8월까지 진행된 직무교육 52회 중 단 한 번의 강의만 인권강사가 진행하였을 뿐이고, 사실상 지휘 책임이 있는 부서장이나 지역관서장이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권위 권고에 따른 직무 교육은 1시간 이내에 종료되었고, 일부 강의는 관련 교재도 없이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직무교육에 교재도 없이 진행한 지방청은 부산청, 경북청, 울산청, 세종청이며, 경기남부와 전남청도 각각 1회의 강의에서 교재 없이 진행하였다. 교육에 사용된 유일한 교재도 인권위 권고문이 전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청 훈령인 “인권보호를 위한 경찰관 직무규칙”제13조(인권교육)에 따르면, 직원의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연간교육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에는 ▶인권의 개념과 역사의 이해, ▶인권보장의 필요성 및 범위의 이해, ▶ 인권보호 모범 및 침해사례, ▶인권정책 및 관련 법령의 이해, ▶그 밖의 경찰활동 시 인권보호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또한 인권보호기구로서 경찰청 본청과 지방청에 각각 인권위원회를 두도록 하고 있으며, 제34조 지방청 인권위원회의 임무에는“인권교육 강의”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경찰청은 17년 경찰개혁위원회 권고에 따라 18년 상반기까지 인권정책관을 신설하도록 하였으나 21년도에도 충원되지 못하고 있으며, 22년도에 재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완주 의원은 “국가공권력인 경찰이 인권침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제도 개선과 결과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인권위 권고에 따른 직무교육이 내실 있게 추진되어 인권침해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루빨리 인권정책관 직제를 신설하고 외부 인권강사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3.jpg

    해썹문의: 010-3546-9865

 

1.jpg

 

2.jpg

 

 

1.jpg

제품광고: 코로나19 극복 면역력 강화 새싹보리 튼튼건강환(기업체 사은품 대량 주문 문의 0103546986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