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보안사고(해킹) 시도 2015년 8,797건, 2019년 22,219건 5년 사이 2.5배 급증
실제 보안사고 5년간 중앙정부 34건, 지방정부 13건 발생
박완주 의원 “지자체 경유 중앙부처 시스템 해킹 위협 우려, 지자체 망분리 도입 시급” 주장
(전국= KTN) 김도형 기자=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보안사고(해킹)시도가 5년새 2.5배가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박완주 의원이 한국지역정보개발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보안사고 시도가 2015년 8,797건, 2016년 11,433건, 2017년 13,192건, 2018년 18,566건, 2019년 22,21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17개 시도 및 226개 시군구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위협을 실시간 관제한다.
특히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경기지역에서 14,729건의 해킹 시도가 일어나 시도 중 가장 많은 건수를 보였다. 경북 7,985건, 제주, 강원, 경남은 6천여건의 해킹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완주 의원이 받은 국정원 자료에 의하면 2015년부터 2019년사이 지자체에서 발생한 보안사고는 13건이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행정기관에서 발생한 보안사고도 2015년부터 2019년사이 비밀 유출 등 34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정원은 세부 피해 내용에 관해서는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유로 밝히지 않았다. 현행 보안업무규정에 따라 국정원은 보안사고 발생 시 보안사고를 조사하고 기관이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국가정보원 제출 ‘최근 5년간 부처 및 지자체 보안사고 발생 현황’ 1. 2015~2019년 시도-시군구별 보안사고 발생 현황
2. 2015~2019년 부처별 보안사고 발생 현황 가. 시기 / 부처 / 기관 / 사고유형 / 피해내용 및 규모 2015년~2019년간 중앙행정기관에서 발생한 보안사고는 비밀 유출·정부청사 불법침입 등 34건이 있습니다. 다만, 세부내용에는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제출하지 못함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한편, 정부는 전국 지자체의 보안수준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9월 <국가 사이버안보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지능형통합관제체계를 구축하고, 망분리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완주 의원은 “지자체를 경유하여 중앙부처 시스템까지 해킹 위협이 있을 수 있다”면서 “지자체의 인터넷망을 통해 업무시스템 해킹시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보안 강화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전 지자체 시스템의 인터넷망-업무망 망분리를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해썹문의: 010-3546-9865
제품광고: 코로나19 극복 면역력 강화 새싹보리 튼튼건강환(기업체 사은품 대량 주문 문의 01035469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