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1/4분기 기업경기전망 97로 기준치 하회하였으나 전분기 전망치 대비 6포인트 상승,
기계․금속․자동차부품 106 호전 전망 우세
업종별로 전기‧전자(100), 섬유․화학(82), 기타(87)
규모별로 대기업(94), 중소기업(97)
항목별로 매출(내수)(98), 매출(수출)(100), 영업이익(내수)(89), 영업이익(수출)(95), 자금조달여건(97)
2018년 경제흐름 54.9% 올해와 비슷할 것, 20.9% 호전 될 것, 20.9% 악화될 것
2018년 대내리스크 46.8% 달라진 노동환경, 대외리스크 28.4% 환율변동 각각 꼽아
2017년에 비해 2018년 투자 늘리지 않을 것 78%달해, 22%만 늘릴 것
2018년 신규 채용 계획…47.3% 전년과 비슷, 줄일 것 19.8%, 계획 못세움18.7%, 늘릴 것 14.3%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구미상공회의소(회장:류한규)가 지난 12월 1일부터 18일까지 구미지역 제조업체 표본 700여개사를 대상으로 전화, 팩스, 이메일, 우편 등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인 91개 제조업체를 토대로 한 「2018년 1/4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에 따르면 BSI 전망치는 97로 나타나 기준치를 하회하였으나 전분기 전망치 대비 6포인트 상승하였고, 기계‧금속‧자동차부품 업종에서는 106으로 호전 국면을 예상했다.
나머지 업종 중 전기‧전자는 100으로 불변, 섬유·화학 82, 기타 87로 나타나 악화 전망이 우세하였고, 세부 항목별로는 매출(내수) 98, 매출(수출) 100, 영업이익(내수) 89, 영업이익(수출) 95, 자금조달여건 97로 나타나 내년 1/4분기 중 수출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았으며, 규모별로는 대기업 94, 중소기업 97로 대·중소기업 모두 악화 전망이 좀 더 우세했다.
한편, 응답업체의 54.9%는 2018년 경제흐름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보았고, 호전 20.9%, 악화 20.9%, 매우 악화 3.3% 순으로 나타나 내년 경제상황은 올해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좀 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았다.
2018년 경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내리스크로는 46.8%가 달라진 노동환경을 꼽아 경영에 차질을 예상하였고, 그 뒤로 기준금리 인상(29.8%), 전기요금 등 에너지믹스 변화(7.8%), 가계부채(6.4%), 반기업 정서(4.3%), 기타(5.0%)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외리스크로는 28.4%가 환율변동을 꼽아 급격한 환율하락(원화절상)이 경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세계적인 긴축분위기(22.7%), 美·中 등과 통상마찰(17.7%), 중국 사드보복(12.8%), 북핵리스크(12.8%), 기타(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내외 리스크가 큰 가운데 2018년 사업계획 방향은 보수적 69.2%, 공격적 30.8%로 나타났고, 2017년에 비해 투자를 늘리지 않을 것 78%, 늘릴 것 22%로 나타나 구미 제조업체는 불확실성 속에 조심스러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사업계획으로도 현상유지가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해외 신시장 개척(17.9%), 사업확장(12.8%), 대내외 리스크 관리(11.1%), 인력증원(6.8%), 노후기계 교체(6.0%), 사업 구조조정(6.0%), 기타(5.1%)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7년과 비교해 2018년 신규채용 인원 계획은 47.3%가 2017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19.8%는 2017년보다 줄일 것, 18.7%는 계획 못세움, 14.3%는 2017년보다 늘릴 것이라고 밝혔으며, 2018년 신규채용 인원 계획을 기입한 34개사의 평균은 6명으로 나타났고, 이중 대기업 4개사는 13명, 중소기업 30개사는 5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18년 한국경제 키워드는 27.2%가 불확실성에 가려진 경영시계를 꼽았으며, 이어 현실이 된 4차 산업혁명(18.3%), 함께 더 멀리 동반성장(11.7%), 성장의 열쇠 규제개혁(11.7%), 고르디우스매듭 노동시장 이중구조(9.4%), 최고의 복지 일자리창출(6.7%), 미래 혁신생태계 구축(6.1%), 보호주의 장벽 뛰어넘기(5.6%), 경기회복의 완연한 봄(3.3%) 순으로 나타났다.
구미상공회의소 김달호 경제조사부장은 올해 구미지역 수출은 무난하게 280억불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탄소소재와 반도체, 이차전지, 전자부품 등을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이 채워지고 있어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수출에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 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일종의 심리지수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신호전달 기능 수행을 통해 시장에 경기방향성을 제시하고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기예측지표이다.
<한국유통신문 영남총괄본부장, KTN한국유통신문 인터넷 신문 발행인 김도형> flower_im@naver.com>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