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부지침과 현실간의 괴리감, 애매한 상황으로 보건관계자와 시민들 혼란(2보)

사회부 0 2,310

thumb-20220222190735_bwznztzu_600x399.jpg

코로나19 신속 항원검사 결과 확인하는 모습

 

 

(전국= KTN) 김도형 기자=  본지에서 22일 보도한 '코로나 19 확진자 격리 해제 시민 재양성 판정 불구, 구미보건소 당국 전파감염에 대한 책임 회피' 기사와 관련해 민원인에게 제대로 세심하게 답변을 못드린 점에 대해 구미보건소에서 심심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구미보건소 관계자는 "너무 확진자가 많이 나오고 이렇다 보니까 세세하게 신경을 못쓴 것 같다."며 "미리 답변 못드린 것은 불찰이다. 이해를 부탁드린다"며 사과의 말을 전했다.


민원인 A씨는 양성 판정 받은 뒤 7일 후에 해제가 되었으나 감기 증상으로 인해 PCR재검사 결과 양성판정이 나왔다.


하지만 A씨가 검사 관계자로부터 죽은균으로 인하여 최대 3개월까지는 양성 판정이 나온다는 답변을 받았으나 격리해제 통보서를 받은 상황에서 출근 후 전파감염이 되었을 경우 책임소재는 어디에 있냐는 물음에 대해 구미보건서 관계자는 명확한 답변을 주지 못해 민원인이 기사 제보하기에 이른 것이다.

 

구미보건소 감염병관리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정부의 정책과 현실이 일치하지 않은 관계로 다소 혼란을 주고 있어 현업에 종사하는 보건당국 관계자들도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임을 전했다.


구미보건소 관계자는 "일단은 저희 정책이 너무 혼란을 주는 것은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코로나19가 약화되어 있으니까 가급적이면 격리를 안시키기고 , 경제도 너무 힘든 상황이다."라며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해 2주에서 10일, 이제는 7일로 축소한 결과 애매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정부지침은 보통 7일만 되면 무조건 해제를 시키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하지만 구미보건소 관계자에 따르면 중증병원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치료가 다 될 때까지 있었으나 얼마 전부터는 무조건 7일 있으면 나가야된다고 했으며 "그 외에는 자기들 부담을 해야된다. 이렇게 해도 사람들이 안나갈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진료비도 엄청나게 많이 빚을 지고 있다."라며 어려운 현실을 토로했다.


정책과 현실이 안맞는 감이 있다고 밝힌 구미보건소 관계자는 "우리가 해서 7일만에 해제를 시키잖아요. 해제를 보건소에서 시켜놓으면 병원이나 군에서는 무조건 PCR검사를 해갖고 오라고 하는거예요."라며 정부에서는 7일만 하고 검사를 안해도 된다라고 지침을 내려 줬지만 병원 입장에서는 7일 있다가 다시 와도 감염력이 없고 코로나가 없어야지만이 수술할 수 있도록 받아준다는 사실을 전했다.


이에 대해 구미보건소 관계자는 "이 정책하고 이거하고 안맞으니까 우리는 너무 혼란스러운거예요. 사실은 이런게 와도 답변할려고 하니깐 너무 애매하고 정부를 욕할 수는 없잖아요."라며 보건관계자들이 일하기 까다로운 상황에 처해있어 시민들의 민원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임을 전하고 이해를 구했으며 앞으로는 시민들의 민원에 대해 꼼꼼하게 챙겨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