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용 구미시장 송년 기자간담회, 수직적인 도시에서 수평적인 도시로 변화 예고

김도형 0 6,455

시 승격 40주년, 민선 7기 출범, 산업도시 특성이었던 수직적인 도시에서 탈피! 
시민과 함께 하는 수평적인 도시로 나아갈 것! 참 좋은 변화, 새로운 구미발전의 밑그림 완성
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 「8대 신산업」 선정 등 미래 산업전략 마련
 1조 4,427억원 투자유치, 5G․원평 도시재생․육아종합지원센터 등 국책사업 선점
 구미형 청년일자리 ‘대통령상’ 수상, 행복일자리 2만 5천여개 달성
 시민중심․행정혁신의 「100대 공약」 확정, 민선7기 로드맵 마련

 

(전국= KTN) 김도형 기자= 27일 오전 11시 구미시청 3층 상황실에서 송년을 앞두고 장세용 구미시장과 시청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가 열렸다.

 

구미시 홍보영상 시청 후 장세용 시장은 2018년도 시정성과와 2019년도 시정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j_da9Ud018svcvm204etcdm7y_uja4b7.jpg

9_3a9Ud018svc3fo4c0qyhty8_uja4b7.jpg

9_4a9Ud018svcfq29w50y1ftw_uja4b7.jpg

 

내년이면 구미국가공단 설립 50주년을 맞이한다고 운을 뗀 장 시장은 구미시가 대한민국 공업도시의 최선두라며 자부심을 느낀다고 얘기했다.

 

j_ca9Ud018svcl6nh1l92h2me_uja4b7.jpg

f_ja9Ud018svcybpz5pxt3jo3_uja4b7.jpg

 g_3a9Ud018svc1mygdrw1pcu6m_uja4b7.jpg

 
장세용 시장은 시정방향에 대해 공직사회의 변화와 구미경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예산 확보와 기업유치, KTX정차로 서울에 있는 인재의 접근성, 정주여건 확보 등 살기 좋은 구미가 되게 해달라는 시민들의 여망을 받들어 성실히 시행하고자 한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민주당 소속을 떠나 구미경제 발전을 위한 소신있는 행보를 하겠다고 밝힌 장 시장은 구미가 어려워지면 대한민국이 어려워진다고 주장했고, 시장 취임 후 나름대로 조금의 성과는 있었다고 했다.

 

장 시장은 문재인 정부 들어 예산편성에 있어 대규모 철도 공항 토목중심의 SOC산업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기조로 바뀌고 있고 시민들은 이런데 익숙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얘기하며, 한편으로 도시재생사업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SOC사업임을 강조했다.

 

9_ga9Ud018svc19swzhz8e8x3m_uja4b7.jpg

 

다른 도시와는 다른 예산 항목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 장 시장은 기본적으로 7대 공약사항을 통해 구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했으며, 산업혁신인 4차산업과 융합, 확충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사업 그리고 나아가서 시민과 함께 창조하는 도시재생을 하겠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 수직적인 산업도시의 특성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도시로 바꿔나가야된다고 밝힌 장 시장은 문화, 예술, 생태, 관광 등과 맞물려 돈을 벌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된다고 했다.


현재 많이 어려움에 처한 청년문제와 관련해 청년 일자리 부족에 대해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와 결혼 후 삶 등을 위해 정주여건을 개선해야한다고 말한 장 시장은 "실제로 관심을 가져야 되는 작은 문제들은 소흘히 하지 않나, 큰것과 작은 것은 연관되어 있다"며 구미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함께 동참해 줄 것을 기자들에게 호소했다.


장세용 시장은 취임 이후 다사다난했던 일들에 대해 기자들이 그동안 많이 궁금했던 사항들에 대해 "의문도 되고 논란이 됐을 것"이라며 기자 질문을 받았다.

 

9_8a9Ud018svc1qim1wng98c9q_uja4b7.jpg

9_ha9Ud018svc11jko2csbo5j3_uja4b7.jpg

 

9_ia9Ud018svc1dm4dquvqxaz8_uja4b7.jpg

 

한편, 이날 구미시는 원할한 진행을 위해 질문순서는 가급적 통신사, 방송사, 중앙지, 도지, 인터넷신문, 주월간지 순으로 질의해달라고 부탁했다.

 

첫번째로 질의한 MBC기자는 대구취수원이전과 관련해 권영진 대구시장이 대구취수원 방침에서 기조를 바꾼 것을 얘기하며, 지자체 용역 결과를 통해 구미의 선택에 따르겠다고 권 시장이 밝힌 것에 대해 사실상 대구취수원 이전을 철회한 것이라면서 거기에 따른 구미의 반응을 물었다.

 

이외에도 기자들의 다양한 질문에 장세용 시장은 또박또박 거침없이 답변했다. 이날 기자질의 도중 질의 규칙을 어긴 기자들에 대한 타 기자들의 비난도 있었으나 별 다른 불협화음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민선7기 장세용 시장과 함께 기념촬영 등 기자간담회는 대체적으로 순조롭게 끝났다는 평이다. 

 

2018년 시정성과

 

「구미시 4차산업혁명위원회」출범, 미래산업 발전전략 마련
   미래「8대 신산업」선정, 연결형 산업‧공간 구조「4대+ 특구」조성
   ‘POST 전자’ 사업모델 발굴로 미래산업의 경쟁력 확보
    •「웨어러블 스마트디바이스 상용화지원센터」개소(‘18.10월) 등 新전자산업 육성  
일자리 정답은 기업, 투자유치 1조 4,427억원 달성
   ㈜투비링크‧에이시디(주) 등 국내외 8개사 1조 4,427억원(고용 1,689명)
   첨단업종(탄소소재,이차전지) 기업 유치로 ‘지속가능한 경제구조 안착’
「구미형 청년일자리」국가사업화,‘대통령상’수상
  「제1회 대한민국 지방정부 일자리박람회」‘대통령상’ 수상(청년일자리)
    •「구미형 청년연구인력 지원사업」→ 국가사업化, 독일 청년일자리 취업파견
   창업 전(全)단계 지원「세대융합 창업캠퍼스」운영(‘18.10월),「청년창업 LAB」구축
서민경제의 근간, 소상공인 경영안전망 강화
   소상공인 특례보증 확대 위한 조례 개정(‘18.10월)
    • 특례보증(4억→10억), 지원한도(2천만원→3천만원, 청년 5천만원) 상향
  「사회적경제기업협의회」출범(‘18.7월), 관련조례 제정 등 지원체계 구축
 도시의 새로운 숨결,「원평동 도시재생 뉴딜사업」본격 추진
   국토부,「원평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선정(‘18.8월, 420억원)
    • 구도심의 자생적 주거환경개선, 청년유입활성화, 복합문화공간 육성
   40년 이상 노후된「국가1공단」산업재생, 혁신공간으로 재편
    •「스포츠 콤플레스 준공」(‘18.3월), 산자부 ‘청년친화형 선도산단’ 지정(‘18.6월)
 스포츠 선진도시,「경북도민체전 2연패」달성
   2020년「제101회 전국체육대회」성공 위한 역량결집
    •「구미시 복합스포츠센터」건립(‘17~‘20년), 종목별 경기장 활용계획 수립(‘18.3월)
   일상에서 누리는 ‘내 집 앞 생활체육’ 저변 확대
    •「고아읍 시니어스포츠파크」준공(‘18.11월),「구포동 생활체육공원」확충(‘18~‘19년)
 시민생활 구석구석까지, 안전사각지대 제로화
   경북지방경찰청 ‘베스트관제센터’ 선정(범죄예방 및 안전조치 신고 870건)
    • 첨단「방범용 CCTV」3,000여대 확충 완료(3대 신규설치 및 노후장비 45대 교체)
   행정안전부, 2018「재난관리평가」‘최우수기관’ 선정
 내 삶의 든든한 울타리, 민관협력 복지통합 서비스 확대
   경북 최초, 무연고‧저소득층을 위한「작은 장례식」업무 협약(‘18.10월)
   8개 유관기관 통합지원체계 수립,「사회복지 유관기관 업무협약」체결(‘18.10월)
  「가족친화인증기관」‧「여성친화도시」재지정,「아동친화도시」인증(‘19년1월예정)
 첨단농업의 평생교육장,「미래농업교육관」개관
   농업 6차산업 본격화, 지속가능한 농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
    •「미래농업교육관」개관(‘18.10월),「6차산업인증 경영체」지원(2개사업), 청년농부 창농지원(5명)
   미래농업 활로 개척,「농업‧농촌발전 대토론회」개최(‘18.11월)
 변화와 혁신, 시민중심의「민선7기 로드맵」마련
   민선7기 4년 로드맵,「5대 핵심전략」과「100대 공약사업」확정
   강도 높은 청렴시책, 불합리한 공직관행 혁파로 행정혁신 도모
    • 전국 최고수준「계약원가심사제」(‘19년 시행), 의전간소화지침, 청렴해피콜 등


       2019년 시정방향(7대 역점시책)

 
- 산업혁신과 도시재생으로 구미경제 활력제고 -
 공단 조성 50주년, 1공단 산업재생, 8대 신산업 중심 미래경쟁력 확보
 「원평동 일원」 도시재생, KTX 구미역정차 추진, 구미형 스마트시티 조성 박차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맞춤형 일자리 2만개 창출 등 활력넘치는 민생경제 구현
 초중 무상급식,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 가족행복플라자 개관 등 복지서비스 확충

산업구조 혁신을 통한 구미공단 미래 경쟁력 확충
  ❍ 5공단 조기 분양, 노후공단 산업재생 등 공단 활성화
    • 5공단 분양 활성화 추진 : 임대산업용지(3만평) 우선공급, 입주업종 확대(7→16개), 조성원가 절감을 통한 분양가 인하
    • 1단지「재생사업」,「공단조성 50주년 기념사업」추진 등
  ❍ 미래「8대 신산업」중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성장산업 육성
    • 5G 테스트베드, 홈케어가전 혁신지원센터, 국방 단종부품 시범사업 등
  ❍ 중소기업 R&D 역량 강화 및 현장중심 기업지원체계 구축
    •「기업지원 통합플랫폼」구축,「기업현장소통협의회」구성․운영 등
 노동이 존중받는 활력넘치는 민생경제 구현
  ❍「노동회관」,「노동자 재교육장」설치 등 노동자 권익 향상
  ❍「지역사랑상품권」발행(100억원 규모), 사회적경제기업 육성(5.5억원)
  ❍ 소상공인 특례보증(2→3천만원) 및 이차보전(2년간 3%) 확대
  ❍ 구미형 청년일자리 창출 등 지역 맞춤형 일자리 2만개 창출
도시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는 도시재생 추진
  ❍「원평동 일원」도시재생 본격추진, 금오시장․선주원남․1공단 등 확대
  ❍ KTX 구미역 정차 추진, 신교통수단 도입, 대구권 광역철도망 구축 등
  ❍ 첨단ICT 산업기반을 활용한「구미형 스마트시티」조성
    • 양포동 일원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지능형 교통체계(ITS) 구축 등
 함께 만드는 문화, 일상에서 즐기는 생활체육
  ❍ 지역 역사문화유산 재조명, 특색있는 관광콘텐츠 육성
    • 황상동 고분군 정비, 인동부 동헌 재현, 선산 장원방 인물 재조명 등
  ❍ (가칭)구미문화재단 설립, 공동체 중심 축제 개발 등 문화예술 활성화
  ❍ 인문도시 활성화(인문학 기반확산, 인문도시 선포, 세계인문학포럼 유치 등)
  ❍ 복합스포츠센터 건립, 경기장 리모델링 등 전국체전 기반시설 조성
  ❍ 고아읍 생활체육센터, 구미국민체육센터 건립 등 생활체육 저변 확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보편적 복지체계 구축
  ❍ 출산과 육아에 대한 복지지원 확대
    •「육아종합지원센터」건립(‘19~‘22년),「가족행복플라자」개관(’19.上)
    •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확대, ‘통합적 출산축하금’ 지원(‘20년~)
  ❍「아동친화도시」인증(‘19.上),「여성친화도시」재지정(‘19~‘23년)
  ❍「노인복지관 분관」신설(‘19~‘22년),「청년활동지원센터」구축 등
  ❍ 초중「무상급식」시행(‘19년~), 중고생 무상교복 지원(‘20년~)
 로컬푸드 활성화, 더불어 잘사는 농업농촌
  ❍ 지역 농특산물, 새 공동브랜드 및 디자인 개발
  ❍「구미 대표농산물」육성(쌀, 멜론, 감자 3대 품목 집중육성)
  ❍ 지역농산물 소비 촉진「로컬푸드 통합지원센터」구축(‘19~‘22년)
    • 지역 푸드플랜 용역 및 정부 공모사업 신청(‘19.上)
  ❍ 산림휴양시설「산림복지단지」(‘19~‘23년),「수다사 산림욕장」(‘19~‘20년)
  ❍ 농업농촌 체험공간 확충(‘19~‘21년, 기술센터 내)
    • 사계절꽃식물원, 농업테마공원, 농사체험교육장, 농업기술박람회 등
 소통과 참여 확대,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정
  ❍「구미시 지방분권협의회」운영, 지방분권 3개'년 계획 수립․추진(‘19~‘21년)
  ❍「시민원탁회의」운영 등 주요정책 공론화 추진
  ❍ 시민에게 신뢰받는 청렴한 구미 실현
    •「시민명예감사관」,「청렴구미만들기 민관협의회」운영 등
    •「계약원가심사」전국 최고 수준으로 강화(3천만원 이상 공사․용역으로 확대)
    • 대형 건설공사 단계별 관리체계 구축(계약금액 5억원 이상)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석포제련소 리포트(1)] 복구 불가능? 중금속 중독 피해 우려 환경파괴 심각, 안동호와 석포제련소를 가다


 

http://www.youtongmart.com

youtongmart.jpg

 

 

 

 

2018 송년 기자간담회 사진1.jpg

 

2018 송년 기자간담회 사진2.jpg

 

 

 

2018 송년 기자간담회 사진4.jpg

 

2018 송년 기자간담회 사진5.jp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석포제련소 리포트(1)] 복구 불가능? 중금속 중독 피해 우려 환경파괴 심각, 안동호와 석포제련소를 가다


 

http://www.youtongmart.com

youtongmart.jpg

 

 

2018 송년 기자간담회 사진3.jpg

8_1a9Ud018svc19zprf7bszir_uja4b7.jpg

 

 

 

9_5a9Ud018svc14qbgg1gpa73l_uja4b7.jpg

 

a_ea9Ud018svc1xkyf32pth116_uja4b7.jpg

 

f_5a9Ud018svcfwf0diu0jt2w_uja4b7.jpg

 

f_7a9Ud018svc2fx4sjkc59r0_uja4b7.jpg

 

f_ca9Ud018svc1i2vaz7g4qbna_uja4b7.jpg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