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구미시의회 송용자 시의원은 11월 26일부터 12월 14일까지 19일간의 일정으로 열린 제227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 앞서 5분 발언을 통해 사회적 경제 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담당인력을 충원해 시장 판로 개척을 지원하도록 집행부에 주문했다.
송 의원은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 및 지원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라며 발언의 취지를 알렸고, 현재 구미시에 사회적기업 및 예비 사회적기업 10개, 마을기업 4개, 사회적 협동조합 및 협동조합71개, 자활기업 6개 등 총 91개의 업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들 사회적 경제기업의 청년 일자리와 연계시킬 방안에 대해 모색한 송 의원은 내년 노동복지과, 투자통상과, 문화관광담당관실, 농정과 등 4개 부서 총 15개 사업에 편성되는 약 40억원의 예산으로 몇 개의 청년 일자리가 창출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기업체 인건비 지원이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지적한 송 의원은 "진정한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없다"라는 입장을 보이며 성남시의 사회적기업 육성 사례를 예로 들었다.
송용자 의원에 따르면 성남시의 경우 쓰레기 처리와 길거리 청소 등 청소용역을 시민주주 기업에 맡겨 사회적 경제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했으며, 경기도는 용역서비스 분야인 공공시설 청소용역, 시설관리, 방역 등의 업무를 사회적 기업에 맡겨 체계적인 육성체계를 구축했다고 한다.
또 가까운 대구에서도 관내 사회적 경제기업이 생산하는 물품을 우선구매 하도록 약정을 맺었다고 한다.
구미시의 경우 타지자체와는 다르게 인건비 지원사업으로만 일관한고 있는 실정임을 밝힌 송 의원은 관련부서에서 모든 역량을 기울여 사회적 경제기업이 청년일자리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기를 간곡히 부탁했다.
더불어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에 대한 문제에 대해 구미시가 지난 2011년 8월 「구미시 사회적기업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사회적기업의 육성계획을 수립해 경영지원, 재정지원, 우선구매 등의 지원에 나서도록 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본 조례 제정 취지와는 다르게 시의 관심과 지원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관내 공공기관과 기업 등에 구매를 장려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구매 실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 송 의원은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그들의 자립과 자활에 도움을 주는 착한 기업들임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라며 빠른 시일 내에 「구미시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구매 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를 발의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담당인력의 확충 문제와 관련해 송용자 의원은 현재 구미시는 91개의 사회적 경제기업에 담당인력은 2명 뿐이라며, 이번 구미시 조직개편에서 사회적 경제 전담조직인원을 추가로 배치시켜 주기를 검토해 달라고 부탁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석포제련소 리포트(1)] 복구 불가능? 중금속 중독 피해 우려 환경파괴 심각, 안동호와 석포제련소를 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