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기념,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독립운동 재조명

사회부 0 241

Screenshot 2025-11-13 104920.png

 

서훈 재평가의 필요성 및 지역사회 차원 기념사업 확대 방향 논의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박희광 선생의 공적을 기리고 그 뜻을 계승하기 위한 학술세미나가 11월 12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대구 카톨릭수녀회 남대영기념관(남구 대명동 현충로 20)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한국보훈포럼(회장 김태열)이 주최했다.


광복회 수성구지회 박근용 회장을 비롯한 이태훈 달서구청장, 보훈 관계자와 유족 등이 참석해 선생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다. 김태열 한국보훈포럼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박희광 선생과 같은 무명의 독립운동가들이야말로 오늘의 자유대한민국을 세운 진정한 영웅들”이라며 “역사적 재평가와 명예 선양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Screenshot 2025-11-13 104839.png

이태훈 대구시 달서구청장 축사 


김태열 회장의 기조발표에 이어 장문선 경북대학교 교수가 토론을 맡아 박희광 선생의 항일투쟁과 보훈학적 평가 방안을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선생의 희생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유를 짚으며 서훈 재평가의 필요성 및 지역사회 차원의 기념사업 확대 방향을 논의했다.

 

Screenshot 2025-11-13 104755.png

김태열 교수(한국보훈포럼회장) 개회사


박희광 선생은 1901년 2월 15일 경북 구미 봉곡동에서 태어나, 부친을 따라 만주로 이동한 뒤 1922년 통의부 제5중대원으로 참전했다. ‘박상만’이라는 가명으로 특공대 활동을 이어가며 친일파 첩자와 잔당을 토벌했고, 1924년 일본 세력에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미성년자 신분이 인정되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그는 18년 6개월간 옥고를 치른 뒤 1943년 출옥했다.


광복 후에는 귀국해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독립운동 경과를 보고하고, 김구 선생의 경호를 맡았으며, 고문 후유증 속에서도 조국의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8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현 독립장)을 추서했다.


이날 행사에서 유족 대표와 지역 인사들은 “박희광 선생의 헌신이 제대로 알려져야 한다”며 구미 출생 독립운동가로서 그 업적을 교과과정과 지역 문화유산 사업에 반영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Screenshot 2025-11-13 104801.png

장문선 경북대학교 교수 박희광 선생 세미나 토론

 


Screenshot 2025-11-13 104807.png

김태열 교수외 3인 세미나 토론

 



Screenshot 2025-11-13 104814.png

 

Screenshot 2025-11-13 104832.png

 


 

Screenshot 2025-11-13 104845.png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유족과 이태훈 달서구청장, 김태열 교수 외 3인 세미나 토론 장면

Screenshot 2025-11-13 104859.png

 


 

Screenshot 2025-11-13 104927.png

 

Screenshot 2025-11-13 104935.png

 

Screenshot 2025-11-13 104941.png

 

Screenshot 2025-11-13 104948.png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Screenshot 2025-11-03 181130.png

 구미대학교 바로가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