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2025 민관대화, 인구 변화와 AI 협력 논의…정상회의 핵심성과 도출 기대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외교부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3차 고위관리회의(SOM3) 개최를 계기로, 대한민국이 올해 APEC 정상회의의 핵심성과로 추진 중인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AI 협력’을 주제로 ‘APEC 2025 민관대화’를 8월 11일(월)부터 12일(화)까지 인천 송도에서 연다고 6일 밝혔다. 행사는 7월 26일(토)부터 8월 15일(금)까지 이어지는 SOM3 기간 중 열리며, 정책 논의에서 민간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협력 성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민관대화에는 APEC 회원국의 학계, 기업은 물론 OECD,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참여해 ▲인구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AI 협력과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방안 등 다양한 주제로 현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인구 변화, 위기가 아닌 기회로’…미래 성장 해법 모색
첫날인 8월 11일에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도전 과제를 짚고, 고용, 교육, 재정, 금융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여성, 고령층, 장애인 등 모든 계층의 활발한 경제참여 확대와, 고령 사회에서의 삶의 질 향상 및 신경제 기회 발굴을 위한 디지털 돌봄 서비스와 보건기술 혁신도 주요 논의 주제다.
이날 기조연설에는 세계적인 인구학자 제니퍼 스쿠바(미국 인구참조국 대표), ‘알파 세대’ 개념을 제시한 마크 맥크린들(호주 맥크린들연구소장), 윌렘 아데마(OECD 사회정책국 선임경제학자)가 나서 최신 연구와 글로벌 정책 제언을 공유한다.
‘AI로 지속 가능한 성장 견인’…공공·민간 파트너십 강조
8월 12일에는 APEC 내 AI 도입·확산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협력 및 모든 시민·근로자의 역량 강화, 견고한 AI 인프라와 투자 생태계 구축 전략 등이 집중 논의된다. 특히 효율적 에너지 활용 등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민관 파트너십 사례와 도전 과제에 주목할 예정이다.
구글(Google)의 경제 연구 총괄 가이 벤-이사히,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카린 퍼셋 OECD AI정책연구소장 등이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AI 전환의 혁신전략과 글로벌 협력 필요성을 강조한다.
조현 외교부장관의 환영사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의 개회사를 통해 핵심성과 창출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민관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될 예정이며, 유정복 인천시장이 환영 축사를 전한다.
청년세대의 다양한 목소리 반영
특히, 인구 변화 및 AI 협력 주제를 청년세대 관점에서 논의하는 특별세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청년들의 목소리(Youth Voices for a Sustainable Tomorrow)’가 양일간 열린다. 이 세션에서는 오픈 공모를 통해 선발된 청년 발표자들이 정책 제언과 미래 비전을 공유한다.
외교부는 이번 민관대화를 통해 마련된 제언 및 논의 결과를 고위관리회의와 10월 정상회의 성과문서에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행사 녹화본은 향후 APEC 2025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외교부는 대한민국 정부 부처로서 국제 외교, 다자·양자 협약, 국제기구 및 대북 정책, 해외국민 보호 등 다양한 대외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웹사이트: www.mofa.go.kr)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