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CCTV 의혹…시민단체 "공당의 본질은 무엇인가" 공개 성명

사회부 0 119


051d7efa-66f1-4501-860a-d81ffbcdaaf9.png

 

 

 

[한국유통신문=구미] 구미시 CCTV 설치 및 교체 사업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확산되는 가운데, 시민단체 공직공익비리신고 시민운동연합(이하 공신연) 구미지부는 7월 19일 성명서를 통해 “이번 사안은 단순한 행정 실수가 아닌, 구조적 비리 가능성이 농후한 공공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공신연은 성명에서 최근 논란이 된 CCTV 사업에 대해 “반복적인 수의계약, 특정 업체 집중 배정, 감시회피 정황” 등을 언급하며 이를 "시스템적인 구조 속에서 반복되고 있는 공공행정의 타락 사례"로 규정했다. 이어 "해당 사업이 행정의 투명성을 훼손하고, 특정 정당과의 유착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를 단순한 정치공세로 치부하는 태도는 시민사회에 대한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공신연은 “정치권 일각에서 문제 제기를 ‘정치적 프레임’으로 치환하고 있으나, 이는 본질을 회피하는 대응”이라며 “실제 계약 과정에서 특정 업체가 과거 당직 이력을 가졌으며, 현재까지도 당 소속 상무위원으로 활동 중이라는 점을 우리는 3월 9일 공식기록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민의힘 경북도당의 대응을 두고 “현재 당직자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사안과의 무관함을 주장하는 것은 책임 있는 정당의 모습으로 보기 어렵다”며 “사실관계에 근거한 당내 감찰이나 진상조사 절차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공신연은 “해당 내용을 언론에 공개하기 전, 구미지역 선출직 및 당직자들에게 수차례 시정을 요구했지만, 일부 인사로부터는 ‘시장과 타협하라’는 반응까지 돌아왔다”며 “이는 사실상 문제를 축소하거나 외면하려는 것으로, 행정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공신연은 성명 말미에서 “경북도지사 이철우 지사는 임기 내내 청렴을 강조하며 청백위원회 활동, 청렴 캠페인, 서약식 등을 진행했으나, 구미시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며, “진정한 청렴은 형식이 아닌 실천”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사안은 단순 행정 착오가 아니라 시민 세금이 정실계약과 정치적 유착에 따라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구조적 문제”라며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감사가 이뤄질 때까지 우리는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공신연은 해당 사안이 지역사회의 투명성과 청렴도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모든 정당과 공직자에게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반박문 전문]


●구미판(版) 지록위마: '구미시장의 사슴'을 말이라 우기는 경북도당, 언제까지 비굴할 텐가!


●권력의 방조와 행정의 타락, 구미시 CCTV 사업은 ‘시스템적 범죄’다.


정치적 영향력의 덫!구미시장의 비리 의혹은 과연 "사슴을 말이라고 둘러대는" 격!


●김관용 전 경북도지사의 "황태자"라 불리는 시장의  권력형 범죄 의혹의 실체를 감추려는 경북도당 "감추는 자가 범인이다 " 비난에 또 다른 의혹 제기 이어져


●"비굴한 지록위마"가 된 국민의힘   시민들은 이러한 기막힌 현실에 비꼬며 비웃고 있다.


최근 구미시에서 진행된 CCTV 설치 및 교체 사업을 둘러싼 비리 의혹은 단순한 계약상의 문제를 넘어선다.


 이는 행정의 투명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권력의 비호와 정치적 유착이 의심되는 구조적 공공범죄의 전형적인 사례다.  


공직공익비리신고 시민운동연합(이하 공신연)은 반복적인 수의계약, 특정 업체 일감 몰아주기, 감시를 회피하기 위한 감사 및 ·수사 부재 등 심각한 의혹들을 확인하고, 성명서를 통해 시민의대표로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돌아온 것은 성찰이나 해명이 아닌, 국민의힘 경북도당의 정치적 프레임 전환뿐이었다.


●성명서 왜곡과 본질 회피, 이것이 ‘공당’의 진정한 모습인가


국민의힘은 성명서 발표 직후, “과거 당직 이력만으로 정당을 매도했다”, “정치공세”라며 즉각 반발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 왜곡해 본질을 흐리는 시도에 불과하다.


●문제 핵심은 특정 업체가 당직자로 활동할 당시에 구미시와의 계약에서 반복적으로 수의계약을 따냈으며, 해당 업체 대표가 현재  국민의힘 구미갑  상무위원임을 밝혔다는 점( 3월9일 공신연 기록 )과  드러난 구미시장의 비리 혐의에 대한 국민의 힘의 비상식적인 제식구 감싸기 형태다. 공신연은 이러한 연계를 통해 시정의 공정성과 정당의 관리책임을 함께 지적한 것이다.


국민의힘이 정말 이 사안과 무관하다면, 당내 진상조사나 공적 감찰을 요구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처럼 ‘현재 당직이 아니다’라는 형식적 변명으로 책임을 회피한다면, 국민은 이를 ‘정당 조직의 무책임한 대응’으로밖에 볼 수 없다.


●타협을 권했던 자들, 침묵했던 무책임한 세력들.


공신연은 이번 문제를 언론에 공개하기 전에 국민의힘 구미지역 선출직 및 당직자들에게 수차례 알리고 시정을 요구했다. 


그러나 당시 이들은 “시장과 타협하라”는 황당한 반응으로 사안을 축소하거나 회피하려했다. 그 결과 오늘날 지역 행정의 신뢰는 바닥까지 추락했다.


이제 와서 당사자성을 부인하거나 '정치적 공격'이라며 시민사회의 문제제기를 왜곡하는 태도는, 사실상 방조자이자 공범의 본성을 드러내는 것일 뿐이다.


`●청렴을 외치며, 부패를 외면한 이철우 지사


경북도지사 이철우는 임기 동안 청백위원회 의장으로 활동하며, 청렴서약서 서명과 청렴 홍보물 제작 등 형식적 청렴 행보에 열을 올렸다. 이를 위해 상당한 예산까지 집행했다.


하지만 정작 구미시에서 벌어지는 비리 의혹과 행정 왜곡에는 아무런 언급도, 조치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공신연은 묻는다. 진정한 청렴은 홍보로 되는 것이 아니라, 눈앞의 부패에 맞서 실천하는 것 아닌가?


우리는 물러서지 않는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행정 실수가 아니다.


이는 권력형 비리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문제이며, 시민의 세금이 정실 계약과 정치적 유착 속에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는 중대한 신호다.


공신연은 이 사안이 수사와 감사를 통해 철저히 규명되고,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책임 추궁이 이루어질 때까지 절대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정당이든, 기관이든, 누가 되었든 이 문제를 외면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에 대해 끝까지 맞설 것이다.


2025년 7월 공직공익비리신고 시민운동연합 구미지부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