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https://www.pa.go.kr/index.jsp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28개 기관·대통령권한대행 기록물 포함
지정기록물 21만8천 건, 비밀기록물 77건으로 역대 최저 수준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비서실 등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으로부터 제20대 대통령기록물 총 1,365만 건을 이관받았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이관은 역대 정부 중 가장 많은 양의 기록물이 대통령기록관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옮겨진 사례다.
<제20대 대통령 기록물 이관 과정>
기록물 상차 및 이송
기록물 하차
기록물 입고 및 배치
이관 대상에는 대통령비서실, 대통령경호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등 28개 기관이 생산·접수한 기록물과, 대통령 권한대행 시기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교육부의 기록물이 포함됐다. 기록물은 크게 전자기록물(777만 건)과 비전자기록물(587만 건)로 구분된다.
전자기록물은 전자문서(39만 건), 행정정보데이터세트(663만 건), 웹기록(누리집, SNS, 블로그 등 74만 건)으로 구성됐다. 비전자기록물은 종이문서(3.4만 건), 간행물(692건), 행정박물 및 선물(1,200건), 시청각기록물(583만 건) 등이다. 특히, 행정정보데이터세트와 시청각기록물이 대량 이관되어 역대 정부 대비 기록물 이관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관 기록물 중 대통령 지정기록물은 21만 8,423건으로 전체 기록물의 약 1.6%를 차지한다. 비밀기록물은 77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역대 정부와 비교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16대 정부에서는 지정기록물 33만 7천 건, 비밀기록물 9,700건, 19대 정부에서는 지정기록물 39만 3천 건, 비밀기록물 2,000건이 각각 이관됐다.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과 협조해 60일간 이관 작업을 진행했다. 이관된 기록물은 생산기관별·유형별로 분류 및 정리, 품질검사 등을 거쳐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에 등록될 예정이다. 등록이 완료된 기록물은 대통령기록관 누리집(www.pa.go.kr) 등에서 국민에게 순차적으로 제공될 계획이다.
이번 이관은 대통령기록관의 체계적 관리와 국민 알권리 확대를 위한 중요한 한 걸음으로 평가된다. 대통령기록관은 앞으로도 기록물의 정확한 분류와 품질관리를 통해 국가 기록물의 가치를 높이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이어갈 방침이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