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KTN) 김도형 기자= 안동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재해를 대비하는 안전 인프라 구축과 철도 및 도로망 확충을 통해 시민의 편안한 일상을 보장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으로 접근성 강화
최근 중앙선 도담영천 복선화 사업구간이 완전 개통되면서 청량리역까지 1시간 40분대에 도착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더해 문경-안동 간 철도 건설(7,279억 원), 서대구-의성 광역철도 안동 연장 운행(1,605억 원)이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중앙선 KTX의 안동수서 운행도 2030년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도로 교통망도 확충된다. 올해 용상-교리 간 국도대체 우회도로(3,246억 원), 안동영덕 국도34호선(2,032억 원), 서의문막곡 국지도 79호선(100억 원)이 완료될 예정이다. 또한, 2026년까지 포항안동 국도35호(2,737억 원), 신도시구담 지방도 927호선(225억 원), 수상대로 확장공사(440억 원), 영가대교-웅부공원 도로 연결(웅부로, 118억 원) 등이 추진된다.
시는 이러한 교통망 확충을 통해 시민의 이동 편의를 증대하고, 통합 신공항 배후 도시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전국적인 접근성 강화로 바이오산업, 문화 및 관광산업 등 시 역점사업의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교통약자를 위한 행복택시 서비스 확대
교통약자를 위한 행복택시의 수혜 지역이 224개 마을로 확대되며, 이용 대상도 농촌지역 중·고등학생과 24개월 미만 영아 보호자까지 확대된다. 이는 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정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재해 대비를 위한 안전 인프라 구축
기후위기의 영향으로 재난·재해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안동시는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도심 내 저영향개발기법(LID) 시설을 통해 집중호우 시 침수를 예방하고 있으며, 2026년 완료를 목표로 210억 원 규모의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을 통해 임하 오대(143억 원)와 도산 가송(421억 원) 지역의 재난 예방을 진행하고 있으며, 임동(84억 원)과 와룡(75억 원) 지역에서도 수해복구 및 위험지역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길안천 퇴적토 준설(228억 원), 일직 운산2지구 재해위험지구 정비(201억 원), 용상지구 풍수해생활권 정비(45억 원) 등 다각적인 재해 예방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안기복개천 생태하천 복원사업(465억 원, 2028년 완료 예정)을 통해 생태탐방로, 수변 쉼터, 생태 관찰 체험시설, 보도교 등을 설치하여 도심 속 친수공간을 조성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권기창 시장, "더 안전하고 편안한 안동 만들겠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작년 갑작스러운 호우로 인해 많은 시민이 어려움을 겪었다”며, “앞으로 더욱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 시민이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안동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과 연결되는 도로·철도망을 구축해 안동을 경북권역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며, “통합 신공항 유치가 안동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