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부동산 부실투자로 인한 리스크 농민들에게 전가, 시한폭탄 안고 있는 상황"
(전국= KTN) 김도형 기자= 농축협 상호금융의 공동대출 연체율이 11.3%로 급등했다.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농축협 지역조합의 금융리스크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건전성 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국회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비례대표)은 7월 8일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5월말 기준 농축협 상호금융의 대출 연체율은 3.86%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권에서 일반적으로 경고 신호로 인식되는 3%를 넘어선 수치다.
2022년말 기준 336조1,881억원이던 대출 총액은 2024년 5월말 기준 347조6,349억원으로 3.4%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연체액은 4조819억원에서 9조4,688억원으로 132% 급증했다.
공동대출 연체율 11.33%, 시한폭탄 경고
특히, 공동대출의 연체율이 문제다. 2024년 5월말 기준 공동대출 연체율은 11.33%에 달했다. 공동대출이란 대규모 대출이 필요할 때 개별 조합이 모여 함께 실행하는 대출로, 농축협 상호금융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은 하지 않지만 브릿지론 등 토지 매입 자금 대출을 공동대출 형태로 취급할 수 있다.
2020년말부터 2022년말까지 2%를 넘지 않던 공동대출 연체율은 2023년말 갑자기 7.41%로 치솟았고, 2024년 5월말에는 11.33%로 폭등했다. 2022년말 기준 3,835억86백만원이던 연체액은 2023년말 1조6,701억원, 2024년 5월말에는 2조6,434억41백만원으로 무려 58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액은 14.3% 증가에 그쳤다.
농협중앙회 연체율 관리 목표 달성 의문
농협중앙회는 2024년 연체율 관리 목표를 2.9%로 제시했지만, 이미 2023년 연체율 관리 목표를 지키지 못한 상황에서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각 지역조합이 독립법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중앙회 차원의 사전심사 절차가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임미애 의원은 "지역 농민들을 조합원으로 하는 지역조합이 리스크 관리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시한폭탄을 끌어안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대로는 부실관리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농민들이 지게 될 것이다. 지역조합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농협중앙회와 농식품부 등 정부당국이 나서서 건전성 회복 방안을 책임 있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맞물려 농축협 상호금융의 연체율이 급등하며, 농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정부와 농협중앙회가 긴밀히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농축협 상호금융 공동대출 연체율 11.3%로 폭등, 리스크 관리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