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KTN) 김도형 기자= 23일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회 김창혁 도의원은 제34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공항도시 및 배후지역의 연계 개발 등을 통한 대구경북통합 신공항의 조기정착 방안 대책에 대해 질의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 특별법 시행으로 신공항 사업 본격적으로 시작
경북도청에 따르면 국토부는 총 사업비 2조 6천억원을 투입하여 92만㎡ 부지에 3,500m 활주로를 가진 민간공항 건설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으며,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이 8. 26일 본격 시행됐음을 밝혔다.
공항신도시와 배후 도시지역을 연결하는 경쟁력 있는 공항경제권 조성․확장
의성 공항신도시는 ‘공항경제권’의 핵심 거점도시로 330만㎡ 규모로 스마트 항공물류단지, 항공산업클러스터, 농식품산업클러스터, 모빌리티 특화도시 등으로 나누어 개발 계획임을 밝혔다.
공항경제권의 확장을 위해 14조 2천억원을 투입하여 대구, 구미, 김천 등 배후 도시지역을 잇는 도로․철도 등 10개 노선 약 432킬로미터 구축할 계획이다.
항공물류산업과 연계한 배후지역 개발
경북도는 지역 특화 항공물류산업을 ‘지역특화산업’, ‘고부가가치산업’, ‘미래신규산업’ 3대 분야로 구분하여 중점 육성할 계획임을 밝혔다.
권역별(서부권, 북부권, 동남부권) 특화산업과 연계하여 항공물류 인프라를 유치하여 강한 산업은 더욱 강해지고, 단순 제조 중심에서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형 첨단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항공산업 싱크넷(Think NET) 구성․운영
경북도는 미래 항공산업과 관련한 출자출연기관, 교육기관, 도 및 시·군 간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협업을 통한 정책공유, 아이디어 도출, 신규 국비사업 발굴 등으로 항공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http://www.youtongmart.com
김창혁 도의원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공항도시 및 배후지역 개발 관련 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