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평화 선언 10주년 기념식 대구서 성황리에 개최

사회부 0 2,184

2_HWPL_대구경북지부가_25일_대구_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_피켓을_들고_평화를_염원하고_있다_.jpg

 

HWPL 대구경북지부, 평화 염원 DPCW 캠페인 펼쳐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국제적인 평화 NGO인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WPL, 대표 이만희) 대구경북지부(지부장 노흥삼)가 25일 대구 국채보상운동공원 화합의광장에서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평화선언 10주년 기념식을 ‘새로운 10년, 평화제도의 정착’이라는 주제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송출된 HWPL 대표 및 행사 주관 대표들의 기념사를 비롯해 내빈축사, 10주년 기념영상 시청, 평화유공자 감사장 수여, 축하공연 등으로 진행됐다. 서울을 시작으로 국내 주요 도시를 포함한 59개국 89개소에서 이달 말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4_HWPL_대구경북지부_회원들이_세계평화선언문DPCW_10조_38항_지지서명에_참여하고_있다_.jpg

 

3_HWPL_대구경북지부가_25일_대구_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_피켓을_들고_평화를_염원하고_있다_.jpg


2013년 5월 25일 대한민국 서울평화의 문 앞에서 공표된 ‘세계평화선언문’의 주요 정신과 ‘평화 걷기’를 포함해 시민사회가 다방면으로 주도한 국제적 평화 운동의 의의를 기념하기 위해 기획됐다.


대구 행사에 참석한 HWPL 대구경북지부 회원 및 인사, NGO단체장, 청년단체 등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DPCW) 10조 38항 지지서명 1,000만건 달성 캠페인을 펼쳐 평화를 염원했다.


이날 발표한 세계평화선언문 10주년 공동성명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화 제도화 정착의 필요성 강조 ▲세계 각국 시민에게 LP(Legislate Peace, 평화의 법제화) 프로젝트 동참 요청 등을 골자로 한다.


성명에 따르면 10년 전 공표된 세계평화선언문은 ▲민주주의 ▲정의 ▲시민의 자유와 평등 ▲종교의 자유와 책임 원칙에 기초해 ‘힘의 통치’에서 ‘법의 통치’로의 이행을 추구하기 위한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으로 발전했다. 또한 평화 구축을 위해 노력한 10년간 120개국 이상에서 종교 간 대화, 평화 교육, 국가 지도자에 대한 평화 촉구, 청년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수백만 명의 참가자 등을 달성했다.


이날 발표된 공동 성명을 통해 HWPL과 참여 기관은 유엔(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제16번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에 따라 국제협력을 통해 평화를 제도화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중재 노력에 참여하고 인식을 제고하며, 분쟁 지역에서 교육을 제공하고 청소년과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하며 시민 사회 참여를 위한 모범 사례를 장려할 것을 약속했다.


HWPL 이만희 대표는 이날 자신이 6.25 한국전쟁에 참전해 최전방에서 직접 겪은 참혹한 전쟁의 비극, 전쟁 후 폐허가 된 과거 대한민국의 모습을 상기하며 평화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1. HWPL 이만희 대표가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JPG


이 대표는 “HWPL이 출범한 목적이 있다. 전쟁 종식과 평화, 나아가 통일을 HWPL이 앞장서서 이뤄 나가야 한다. 나라에 어린아이들이 태어나고 있다. 어떤 나라를 아이들에게 물려줘야 하겠느냐”고 물으며 “문명이 밝아진 이 때에 부딪치고 싸우지 말자. 오늘을 잊지 말자. 우리는 다 평화의 가족이다. 여러분의 뜻을 모아 평화와 통일을 이뤄야 한다. 이 일에 동참해주기를 부탁한다. 보다 나은 세상이 오도록 한 해 동안 함께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축사에 나선 HWPL 손경찬 홍보대사는 “이번 행사가 뜻깊은 이유는 세계평화가 단순히 말과 글로만 선포된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지난 10년 간 HWPL의 행보는 우리가 연대하고 하나되면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시사했다. 모든 사람들이 평화를 소망하면, 평화는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6.25 참전 유공자 김재복(91) 어르신은 “참혹한 전쟁을 경험한 사람으로서 이런 행사는 꼭 필요하다고 본다”며 “많은 사람들이 평화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민석(42, 달서구 장기동)씨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뉴스로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는데 전쟁을 종식 시키고 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답이 DPCW라는 것을 확신했다”며 “하루빨리 DPCW가 제정되고 평화의 가치를 모두가 깨달아 안타까운 희생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준영(33, 달서구 송현동)씨는 ‘세계평화선언문 발표 이후로 벌써 10주년이 되었는다는 게 놀랍다. 10년동안 해왔던 것처럼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라며 ”내가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을 해보는 값진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http://www.youtongmart.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