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화/인터뷰/칼럼 > 문화
문화

 

[포토뉴스] 우리나라에서 연못이 가장 아름다운 절,수선사를 가다

사회부 0 1164

 

1_2ccUd018svc13xdct675nw5t_tg3zvl.jpg

 

1_0ccUd018svc1gh1k034gnrr2_tg3zvl.jpg

 

0_hccUd018svc17hvs8pfsrdv7_tg3zvl.jpg

 

j_jcbUd018svc6ocnzxhbx9z6_tg3zvl.jpg

 

j_gcbUd018svc1f435rb2rq50b_tg3zvl.jpg

 

j_6cbUd018svc1y2c0r1mx3np2_tg3zvl.jpg

 

j_4cbUd018svc1t4g1hqz278oz_tg3zvl.jpg

 

j_2cbUd018svc1qgwbppaya0hw_tg3zvl.jpg

 

j_0cbUd018svc1pzohk7avk8gt_tg3zvl.jpg

 

i_6cbUd018svc1f99augwwcw1x_tg3zvl.jpg

 

i_4cbUd018svca5g87g00z434_tg3zvl.jpg

 

g_7cbUd018svc1ouk5hnlcl3dq_tg3zvl.jpg

 

g_5cbUd018svc2b28afkvg7up_tg3zvl.jpg

 

f_6cbUd018svc1e827txpxij0e_tg3zvl.jpg

 

f_3cbUd018svc1fzzp9p1i6clg_tg3zvl.jpg

 

f_1cbUd018svc10qs3718dylop_tg3zvl.jpg

 

e_icbUd018svc9y1e27s1mt4l_tg3zvl.jpg

 

e_fcbUd018svc17l6nq3z16ctd_tg3zvl.jpg

 

5_5ccUd018svc1nv6goj4waell_tg3zvl.jpg

 

4_hccUd018svc1klwsu9ieziue_tg3zvl.jpg

 

4_cccUd018svccf4ugul75ko0_tg3zvl.jpg

 

3_iccUd018svc1a4zcozk7p4g4_tg3zvl.jpg

 

2_6ccUd018svc1568b7dy2l9ui_tg3zvl.jpg

 

2_3ccUd018svc1od9nqtt4xihm_tg3zvl.jpg

 

1_7ccUd018svc13jnpd6ebysqp_tg3zvl.jpg

 

5_9ccUd018svc1inrnizkjrts8_tg3zvl.jpg

 

e_4cbUd018svc1n715aoxyxyl3_tg3zvl.jpg

 

4_jccUd018svc1dc3ae6de371w_tg3zvl.jpg

 

3_3ccUd018svc1w5da1v1kf9up_tg3zvl.jpg

 

2_1ccUd018svcw2iakfvxii5_tg3zvl.jpg


 2_accUd018svc1d52lx2zcmehe_tg3zvl.jpg

f_9cbUd018svclvtre01ur17g_tg3zvl.jpg

 

f_7cbUd018svcyv1xdj73hjtg_tg3zvl.jpg

 

f_4cbUd018svc1swfesv9bou0p_tg3zvl.jpg

우리나라 절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장실^^

 


수선사는 산청의 산골 속에 자리 잡은, 마치 헤르만 헤세의 '동방의 순례' 속에서나 볼 법한 고요한 영혼의 안식처였다. 


수선사에 들어서며 나는 마치 꿈결을 걷는 듯한 기분에 사로잡혔다.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독특한 건축물이 눈에 들어왔다. 정체를 알 수 없던 그 건물은 놀랍게도 화장실이었다. 현대적이면서도 자연과 어우러진 디자인, 실내화를 갈아신고 들어서야 할 만큼 깨끗한 공간은 일상 속에서의 번잡함을 모두 떨쳐내고 온전히 자신을 마주할 수 있게 해주었다.

 

여느 사찰들과는 다른, 이곳만의 특별한 정취가 나를 맞이했다. 첫눈에 반한 것은 사찰의 한 곳에 자리잡은 그 연못이었다. 수면 위로 살며시 고개를 내민 연꽃들의 모습은 마치 세상과는 동떨어진 신비한 풍경 속으로 나를 인도했다.

 

수선사의 연못은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고요함 속에 있었다. 연꽃들은 바람 한 점 없이 잔잔한 물 위에 고요히 떠 있었고, 그 모습은 마치 누군가가 정성스럽게 그려놓은 수채화 같았다. 움직임 없는 연못은 사찰의 평온함을 더욱 부각시키며, 그 속에서 자연은 침묵 속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연꽃들은 그 자태를 그대로 드러내며, 고요한 연못 위에 섬세한 그림자를 드리웠다. 그 정적 속에서 나는 마치 연꽃들의 숨결까지 느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이곳에서의 시간은 천천히, 그러나 깊이 흐르고 있었다. 고요함 속에서 빛나는 연꽃들은 한 송이 한 송이, 침묵으로 세상을 노래하는 듯했다.


연못 위로 놓인 오래된 나무 다리와 그 다리 위에 놓인 작은 쉼터는 마치 세상과 단절된 시간 속으로 나를 이끌었다. 그곳에 앉아 바라본 연못은 자연과 인간이 빚어낸 조화의 결정체였다. 맑은 물 위로 드리운 푸른 산의 그림자는 고요한 사색의 순간을 선사했고, 연꽃 사이를 지나가는 다리 위의 소리는 마치 먼 과거로부터의 속삭임처럼 들려왔다.


현대식 건축물과 전통 사찰의 조화는 이곳을 단순한 관광지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시켰다. 연못을 내려다볼 수 있는 작은 카페와 그 뒷편의 갤러리는 산 속의 고요함을 배경으로 예술을 향유하게 만들었다. 이곳에서의 시간은 마치 삶의 본질로 향하는 길 위에 잠시 멈춘 것 같았다.


“이곳은 반드시 다시 와야 해” 나는 지인들에게 속삭였다. 세 번은 더 와야 할 만큼, 이곳은 쉽게 잊혀질 수 없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나는 앞으로 산을 일구며 많은 사람들에게 휴식과 위안을 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그런 나에게 수선사는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허물고, 그 안에 사람의 온기를 더한 창조적 공간이었다.


이곳을 떠나며 나는 한 가지 결심을 하였다. 언젠가 나도 이와 같은, 자연 속에서 사람들의 영혼을 어루만지는 공간을 만들어가겠노라고. 수선사는 그런 나에게, 꼭 한 번은 찾아와야 할 성지가 되었다.

 

글쓴이: 김도형 작가는

인생의 고비를 맞이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새로운 트렌드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동기부여와 함께 새로운 희망을 안겨다 주는 실용적 감성글을 좋아한다.

 

 -경북미디어뉴스 '오늘의 말' 고정 칼럼 연재

 -동기부여 코칭 스토리텔링 작가

 -4차산업혁명시대 리더십 제언 칼럼 연재

 -경북스토리텔링클럽 공모 선정(2019)

 -네이버 지식 iN 지식파트너 자원상담원(2013~)

 -시사문단 수필부문 신인상 등단(2013)

 -한책 하나 구미운동 2012, 2013 입상

 

'모닝글LORY'는 전자책 출판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창작 코너입니다. 마감시간은 매일 아침(오전 5시부터 오전 9시까지) 글쓰기를 원칙으로 하며, 숙면 뒤 깨어났을 때 느껴지는 영감을 자양분으로 하여 가공된 창작글을 지향합니다.


매일 글쓰기를 하는 것은 단순히 문장력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의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꾸준한 글쓰기는 창의력, 자기 표현, 정서적 안정, 사고력 향상 등 여러 면에서 우리의 삶에 깊이 관여합니다.


참여 작가님들의 첫 출판은 100회 게재를 원칙으로 하며, 최종 편집회의를 거쳐 전자책 발행을 합니다. 전자책은 크몽, 탈잉, 부크크, 유페이퍼를 통해 출판되며, 등단 작가로 활동할 수 있는 길을 열어드립니다.


참여작가 문의(fower_im@naver.com, 010-3546-9865)

 

 

스크린샷 2024-08-11 155405.png

 《세계금궁스포츠협회 오늘의 말》10년을 두고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반드시 이루어진다. > 칼럼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