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비즈 심층분석(2)] SNP LAP 이재영 대표 "마이데이터, 기술 넘어 '개인의 통제권' 회복하는 시민…

사회부 0 317

9_dj5Ud018svcqgi849i7xzg4_tg3zvl.jpg

 

 

PDS 개념 통해 본 마이데이터의 본질… "서버가 아닌 사용자 손안에서 데이터를 통제할 때 진정한 가치 발현"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7월 1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5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교육'의 두 번째 강연은 마이데이터의 기술적 구현 너머에 있는 철학적 근원을 깊이 있게 파고들었다. 'PDS와 개인정보 보호전략'을 주제로 강단에 선 SNP LAP의 이재영 대표는 "마이데이터는 기술이나 비즈니스가 아닌,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독점에 맞서 개인의 정보 주권을 회복하려는 시민운동에서 출발했다"고 강조하며, 그 핵심 개념으로 'PDS(Personal Data Store, 개인 데이터 저장소)'를 소개했다.

 

PDS란 무엇인가? "핵심은 저장소가 아닌 '사용자 통제권'"

이 대표는 "마이데이터라는 용어보다 PDS라는 개념이 먼저 있었다"며 강연의 문을 열었다. PDS란 기업이나 기관이 아닌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안전하고 구조화된 방법으로 저장, 관리, 활용하는 저장소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는 "데이터의 물리적 저장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클라우드든, 개인 단말기든 상관없다"며 "가장 핵심적인 철학은 바로 '사용자의 통제권(User Control)'"이라고 역설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기업 서버의 데이터는 진정한 의미의 PDS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월드와이드웹(WWW)의 창시자 팀 버너스리가 가졌던 문제의식과도 궤를 같이한다. 본래 자유로운 데이터 공유를 위해 만들어진 웹이 거대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독점 도구로 변질된 것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바로 마이데이터와 PDS의 출발점이라는 설명이다.

 

데이터 결합의 기회와 위험, "신뢰가 깨지면 모든 것이 무너진다"

이 대표는 마이데이터의 진정한 가치가 서로 다른 영역의 데이터를 결합할 때 폭발적으로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를 결합하면 '돈은 많지만 건강이 염려되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고객군을 발견하고, 이들에게 고가의 헬스케어 상품을 제안하는 등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고 예시를 들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는 큰 위험이 따른다. 현재 우리나라는 금융, 공공, 민간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CI(연계정보)'라는 통일된 키(Key)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대표는 "CI가 범용 키가 될 경우, 한번 유출되면 한 개인의 모든 디지털 삶이 연결되는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양날의 검'을 경고했다.

그는 "프라이버시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민감도가 천차만별"이라며 "한번 신뢰가 깨지면 회복하기 어렵고, 이는 서비스의 근간을 흔드는 가장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접근을 당부했다.

 

미래 모델은 '온디바이스'… "데이터는 떠나지 않고, 필요한 가치만 전달"

이 대표는 데이터 활용과 프라이버시 보호의 딜레마를 해결할 미래 모델로 '온디바이스(On-device)' 접근법을 제시했다. 이는 개인의 민감한 원본 데이터는 스마트폰 등 개인의 단말기를 떠나지 않고, 단말기 내에서 처리 및 분석 후 필요한 결과값만 외부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그는 "술집에서 성인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증 전체를 보여줄 필요 없이, '이 사람은 술을 마실 수 있다'는 확인 결과값만 전달하면 충분하다"며, "이미 스마트폰의 지문 인식 등은 생체 정보를 외부로 보내지 않고 단말기 내에서 '본인임'을 판단해주는 온디바이스 기술의 좋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의 강연은 마이데이터 비즈니스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왜' 이 사업을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그의 메시지는 명확했다. 기술적 우위나 단기적 수익을 넘어,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존중하고 사회적 신뢰를 쌓아가는 기업만이 다가오는 2025년 마이데이터 시대의 진정한 승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