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재활의학회 정책제안식 현장사진
“국가가 책임지는 재활·희귀질환·장애 정책, 지금이 바로 전환점입니다.”
【서울=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장애인의 삶을 정치의 중심으로 옮기려는 약속이 현장의 목소리와 함께 국회에 울려 퍼졌다.
더불어민주당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 장애인시민본부(본부장 서미화)는 26일 국회 의원회관 306호에서 재활·희귀질환·장애 관련 5개 단체와의 정책협약·지지선언·정책제안식을 연속 개최하며, 실질적 복지정책 전환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한국재활치료기관협회·대구치료교육기관연합회 정책협약식 및 지지선언 현장사진
한국시신경척수염환우회 정책간담회 현장사진
이날 협약식은 ▲한국재활치료기관협회 ▲대구치료교육기관연합회 ▲대한재활의학회 ▲한국시신경척수염환우회 ▲한국농아인협회 등 각계의 대표적 장애인 관련 단체가 참여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재명 후보, 유일한 재활복지 전환의 적임자”
한국재활치료기관협회와 대구치료교육기관연합회는 협약서를 통해 “재활사 공적 법인 설립, 재활전문 교육훈련 기반 마련, 당정 협의체 구성” 등을 촉구하며 제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지지선언문에서 “이재명 후보는 사회적 약자의 현실을 이해하고 있으며, 재활복지의 질적 도약을 이끌 수 있는 유일한 후보”라고 지지를 명확히 밝혔다.
재활의학계 “생존 이후 삶의 질, 이제는 국가가 책임져야”
대한재활의학회는 “회복기 재활병원 중심의 전달체계 확립, 중증 재활환자를 위한 수가체계 마련, 성과지표 기반 의료연계 시스템”을 제안했다.
윤준식 이사장은 “재활의학은 생존 이후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필수의료”라며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와 제도적 기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신경척수염 치료 선택권 보장돼야”
한국시신경척수염환우회는 정책간담회에서 “범주질환 치료제의 급여 기준 완화, 신약 치료제의 1차 치료 허용”을 요청하며, 치료 접근성 강화를 촉구했다.
이동환 이사는 “희귀질환 치료는 속도가 생명”이라며 “환자들이 빠르고 공정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한국농아인협회와의 간담회에서는 “농아인 쉼터 설치, 방송 수어통역 자격제도 개편” 등을 주요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이는 농인의 일상적 소통권과 문화 접근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요청이다.
한국농아인협회 정첵간담회 현장사진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