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기술, 한국 농산물 수출의 게임체인저”…이지현 연구관 “기술·인프라 결합이 관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세중그룹과 함께 188회 실증…“딸기·참외·포도 등 신선도 2배 연장”


[한국경제신문=김도형 기자]


“신선 농산물 수출은 더 이상 ‘좋은 품질의 생산’만으로는 경쟁력이 없습니다.

이제는 얼마나 오래, 얼마나 멀리,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가의 싸움입니다.”


26일 충북 청주시 오송 생명과학단지에서 열린 *‘CA기술(저온가스조절) 활용 신선농산물 수출 확대 워크숍’*에서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업연구관은 “CA기술이 한국 농산물 수출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며 “연구실 단계를 넘어 산업 현장 중심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_1b4Ud018svc181xhb2mwtqbx_tg3zvl.jpg

 

j_6b4Ud018svc1huyu5w7panx_tg3zvl.jpg

 

j_cb4Ud018svc18hl7k9gleg56_tg3zvl.jpg

 

 


■ “CA기술은 수출 혁신의 핵심…항공의 한계를 넘어선다”


이지현 연구관은 지난 5년간 수행된 연구성과를 소개하며 “CA(Controlled Atmosphere) 기술은 농산물의 호흡을 억제하고 노화 촉진 물질인 에틸렌 생성을 차단해 신선도를 2배 이상 연장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동안 항공 운송비 급등과 수출 중 품질 저하 문제로 한국 농산물의 시장 확장이 어려웠다”며 “CA기술은 항공 대비 물류비를 절반 이하로 줄이고, 장거리 해상 운송에서도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 188회 실증…딸기·참외·멜론·포도 등 ‘성과 입증’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세중그룹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총 188건의 CA 실증 수출을 진행했다.


시험 품목은 ▲딸기 ▲참외 ▲멜론 ▲포도 ▲수박 등으로, 각 품목의 수송 거리와 기간, 혼합 적재 조건을 달리해 한국 농산물에 적합한 ‘CA 최적 조건 모델’을 구축했다.


딸기: 항공 대비 물류비 50% 절감, 신선도 11일 유지


참외: 리퍼(냉장 컨테이너) 대비 손실률 20% 이하


멜론·수박: 두바이까지 30일 해상 운송에도 품질 유지


포도: 저장 후 수출 시 상품화율 27% 향상


이지현 연구관은 “이제는 단순 저장 기술을 넘어 수출 품목별·시장별로 최적화된 CA 조건 DB(Data Base)를 확보한 단계”라며 “실험이 아닌 현장 중심의 실증형 연구가 한국 농산물 수출의 새로운 모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 “기술과 산업의 결합…CA 활용 인프라 구축이 과제”


이지현 연구관은 기술 발전만큼이나 현장 인프라의 뒷받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CA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상하차 도크, 냉장 창고, 온도제어 설비 등 기본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으면 기술이 현장에 뿌리내릴 수 없다”며

“지원 정책 또한 시설 건설 중심이 아닌, ‘신선도 유지 기술 활용비용 지원’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한국형 CA기술은 단순한 보존기술이 아니라, 수출 구조를 바꾸는 국가 전략기술”이라며 “정부·연구기관·산업계가 함께 협력해 저장·유통·물류를 통합한 K-CA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농산물 수출의 중심축, 기술혁신으로 이동 중”


이지현 연구관의 발표는 현장 농가와 수출기업 관계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CA기술은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세중그룹 CXL바이오센터와 협력해 한국형 모델이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세중그룹은 2020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협력해 국내 최초로 CA컨테이너 실증을 시작한 이후 농산물 물류 혁신과 수출 품목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지현 연구관은 “CA기술을 통한 농산물 수출 확대는 한국 농업의 체질 개선이자 글로벌 시장 진입의 핵심 열쇠”라며 “앞으로도 품목별 최적화 기술을 지속 개발해

한국 농산물이 전 세계에서 ‘신선함의 표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3_cb5Ud018svcyfz4hz0qmevn_tg3zvl.jpeg

"CA Technology is a game changer for export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Lee Ji-hyun, a researcher, said,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is the key."


188 demonstrations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Sejung Group..."Double the freshness of strawberries, melons, grapes, etc."


[Korea Economic Daily = Reporter Kim Do-hyung]


"Fresh agricultural exports are no longer competitive with 'good quality production' alone.

Now it's a battle of how long, how far, how fresh you can stay."


On the 26th, at the Osong Life Science Complex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Lee Ji-hyun, an agricultural researcher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aid

"CA technology is changing the game of Korean agricultural exports," he said. "We need to expand beyond the lab stage to focus on industrial sites."


■ "CA technology is key to export innovation..."Beyond the limits of aviation"


Introducing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over the past five years, researcher Lee Ji-hyun explained, "CA (Controlled Atosphere) technology more than doubles the fresh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by suppressing breathing and blocking the production of ethylene, an aging promoting substance."


"In the meantime, it has been difficult to expand the market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soaring air transportation costs and poor quality during exports," he said

"CA technology is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can reduce logistics costs to less than half compared to aviation and maintain the same quality in long-distance sea transport," he said.


■ 188 demonstrations...Strawberries, Korean melons, melons, grapes, etc. 'Proving their performance'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Sejung Group will be held from 2021 to 2023

A total of 188 CA empirical exports were conducted.


The test items were ▲strawberry ▲ melon ▲ grape ▲ watermelon, and the 'CA optimal condition model' suitable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as established by varying the transport distance, duration, and mixed loading conditions of each item.


Strawberries: 50% reduction in logistics costs compared to aviation, 11 days of freshness


Korean melon: Loss ratio of 20% or less compared to reapers (refrigerated containers)


Melon and watermelon: Quality maintained in 30-day sea transport to Dubai


Grapes: Commercialization Rate Up 27% When Stored and Exported


Researcher Lee Ji-hyun said, "Now, beyond simple storage technology, we are at the stage of securing a CA condition DB (Data Base) optimized for each export item and market," adding, "Experimental field-oriented empirical research, not experiments, has opened a new model for export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industry...Building CA Utilization Infrastructure Challenges"


Researcher Lee Ji-hyun emphasized that supporting on-site infrastructure is as important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No matter how good CA technology is, technology cannot be rooted in the field without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top and bottom dock, refrigerated warehouse, and temperature control facilities," he said

"The support policy should also be shifted to 'support the cost of using fresh road maintenance technology' rather than focusing on facility construction," he suggested.


"Korean CA technology is not just a preservation technology, but a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that changes the export structure," he said. "The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should work together to build a K-CA model that integrates storage, distribution, and logistics."


■ "The central axis of agricultural exports is moving toward technological innovation."


Researcher Lee Ji-hyun's presentation was well received by field farmers and export companies.

CA technology is already widely used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Korean-style model is quickly becoming established in Korea in cooperation with Sejung Group CXL Bio Center.


Sejung Group has been promoting agricultural logistics innovation and export diversification since it began demonstrating CA contain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2020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Expanding agricultural exports through CA technology is a key to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Korean agriculture and entering the global market," said researcher Lee Ji-hyun. "We will continue to develop optimization technologies for each item in the future."

We will try to make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become the "standard of freshness" around the world, he said.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3ee23922-bc53-4ae4-add1-d2e4e34b5cc8.pn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