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드론시장 75 조원 급성장 , 중기부 드론산업 예산지원 전무

사회부 0 789

프로필사진.jpg

 

 

산업부 예산 ‘22 년 247.7 억원 → ’23 년 149.9 억원 줄어

핵심부품 국산화율 모터 1.2%, 프롭 6%, 배터리 20.6%

국내 등록 드론 총 31,314 대 , 중국 DJI 6,929 대 (22%) 차지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국회 예정처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2030 년 기준 국내 드론산업 시장규모는 1 조 5 천억원 , 세계시장은 약 75 조원으로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이런 가운데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계획에도 불구하고 중기부의 예산지원은 전무하며 , 산업부의 드론산업 예산지원액도 ‘22 년 247.7 억원 수준에서 올해 ‘23 년 149.9 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드론부품 국산화에서도 부품별 국산화율은 약 60~80% 에 달하지만 , 핵심 부품인 모터와 프롭 , 배터리는 크게 떨어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같은 사실은 구자근 의원 ( 국민의힘 , 경북 구미시갑 ) 이 국회 예산정책처에 검토의뢰한 < 드론산업 정부지원현황 및 핵심부품 국산화 정책 검토 > 자료 등을 통해 밝혀졌다 .


자료에 따르면 국내 드론 시장 규모는 2016 년 704 억원에서 2020 년 4,945 억원으로 성장해 세계시장의 약 2% 를 차지하고 있으며 , 국내 드론산업 시장 규모는 2025 년 약 1 조 392 억원 (7.65 억 달러 ) 2030 년 약 1 조 4,997 억 (11.04 억 달러 )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세계 드론시장은 2020 년 기준 30 조 5,662 억원 (225 억 달러 ) 에 달하며 , 해외 드론산업 전체시장 규모는 2025 년 약 53 조 222 억원 (390.3 억 달러 ) , 2030 년 약 75 조 7,635 억원 (557.7 억 달러 )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 시장에서 드론의 주요 활용분야는 ① 에너지 ( 정유소 · 송전탑 점검 등 , 29 억 $), ② 건설 ( 현장조사 , 26$), ③ 교통 · 창고 ( 교통시설 점검 · 재고관리 , 22 억 $), ④ 농업 (20 억 $) 순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렇게 드론이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드론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의 경우 , 국내 33 개 드론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83 개 기체의 부품별 국산화율은 약 60~80% 에 그치고 있다 . 이 중에서 핵심부품인 모터는 1.2%, 프롭은 6%, 배터리는 20.6% 에 불과하다 .


 


스크린샷 2023-10-19 103406.png

 

[ 표1 ] 드론부품 국산화 현황


정부는 「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 (’17~’26) 」 등에 따라 ,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천 ‧ 공통기술 및 시장선도기술 개발 등을 추진 중이며 , 산업통상자원부도 「 제 3 차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21.3 월 , 관계부처합동 ) 」 과 「 항공핵심기술로드맵 (’21.3 월 ) 」 을 수립해 드론의 핵심부품 개발과 표준화 등 관련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R&D 를 지원 중이다 .


하지만 실제 국회예산정책처가 산업부의 드론산업 관련 산업통상자원부의 예산지원액을 분석한 결과 ‘17 년 34.4 억원 , ‘18 년 49.5 억원 , ‘19 년 84.1 억원 , ‘20 년 193.7 억원 , ‘21 년 265.8 억원 , ‘22 년 247.7 억원에 불과하며 ‘23 년에는 149.9 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스크린샷 2023-10-19 103417.png

 [ 표 2] 산업통상자원부 드론산업 지원 예산



또한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자료를 통해 ‘ 별도의 드론산업 관련 예산 및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으며 , 드론 관련 산업에 대한 별도의 정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 고 밝혔다 .


한편 항공안전기술원 (KIAST) 의 ‘2022 년 드론산업 실태조사 ’(2022.12) 에 따르면 국내 드론 관련 기업체는 제작업체 345 개 , 활용업체 4,649 개로 총 4,994 개이다 . 국내에서 등록한 드론의 누적 대수는 총 31,314 대이며 이 중 외산드론은 11,100 대 (35%)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021.1 월부터 시행한 드론실명제 (’20.2 월 입법예고 , ‘20.5 월 개정 )


* 국내 등록 외산기체는 중국의 DJI 가 62.4% 로 가장 많으며 , 그 외 Align( 대만 ), Freewing( 중국 ) 등이 있음


 


스크린샷 2023-10-19 103423.png

 [ 표 3] 국내 등록 외산 기체 현황


구자근 의원은 “ 드론이 미래 핵심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정부의 예산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 며 “ 우리나라도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핵심부품 국산화를 비롯해 드론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 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http://www.youtongmart.com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