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제진흥원 창업 지원사업, 청년기업의 안정적 정착과 성장 이끌어

사회부 0 303

경북에서 창업한 청년기업, 5년 이상 생존률 전국 평균 대비 고공행진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국세청의 최신 집계에 따르면 전국 신규 창업자 대비 폐업률은 지난 몇 년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2022년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 참여자 수료식 행사 진행 사진 .jpg

 

구체적으로 2020년 60.6%, 2021년에는 63.1%, 2022년에는 66.2%로 매년 약 3%p의 폐업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북경제진흥원이 발표한 '경상북도 도시청년시골파견제 등 창업기업 실태조사'의 결과가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진흥원이 발굴·육성한 청년창업기업의 폐업률은 24.2%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창업 후 5년 이상 업력을 가진 기업 중 70%이상이 여전히 경영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경상북도와 경북경제진흥원의 창업지원 사업이 청년 창업가들의 성공적인 지역정착과 지속적인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상북도가 청년들의 지역 정착 및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2018년 시작된 청년정주지원 목적사업은 크게 세 가지 였다. 대표적인 사업은 ‘도시청년시골파견제(1기~3기)’이며, 그 외 청년커플창업지원사업(1기~2기)과 청년창업지역정착지원사업이 있다. 방식은 로컬창업지원이며, 지향점은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이다.  


조사결과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지역별로는 청송, 영양, 예천 등 창업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에서 창업 유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구지역과 인접한 칠곡, 경산 등에서는 창업 유지 비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한편, 2022년 기준으로 조사된 125개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약 1억 7천만원으로 조사되었으며, 부부가 함께 창업 창업한 기업들의 평균 매출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음식점업이 28.9%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보였으며, 서비스업과 농업 및 6차 산업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포항이 총 매출액과 평균 매출액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고용인원 조사 결과, 사업을 유지 중인 125개 창업기업 중 32개 기업(25.6%)이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총 78명의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 송경창 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경북에서의 창업 활동이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라며 총평을 밝혔다. 또한, 지역에서 창업한 청년들을 향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끊임없이 도전하고,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분이야말로 진정한 변화의 주역"이라며 훈훈한 격려의 말을 전했다. 

 

송경창 원장은 청년 창업가들의 노력과 성취를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지역 내 창업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