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353억 원 투입 '에너지자급자족 인프라' 성공 구축

사회부 0 237

[신산업정책과]구미시  353억 규모

 

태양광부터 ESS, V2G까지…산단 중심의 탄소중립 실현 본격 시동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구미시가 3년간 추진한 ‘에너지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난 11일 금오산호텔에서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신산업정책과]구미시  353억 규모

 

[신산업정책과]구미시  353억 규모

 


 

 

이번 사업은 총사업비 353억 원을 투입해 에너지 생산·소비·관리 전 단계에 걸친 인프라를 통합적으로 구축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에너지 자립형 산업단지 기반 완성

구미국가산단을 중심으로 진행된 본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도입 확대와 고효율화, 그리고 에너지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골자로 한다.

성과보고회에는 김장호 구미시장, 구자근 국회의원, 박병훈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지역본부장 등 정·관계 및 산업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사업의 의미를 함께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태양광 확대 → 에너지 비용 연간 25억 절감

생산 부문에서는 총 57개 기업에 자가소비형 태양광 발전설비 10MW를 설치했다. 이로써 구미산단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약 44% 증가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5억 6천만 원의 전력 비용을 절감했으며, 탄소 배출량도 5,935톤(tCO2eq) 가량 줄였다.


고효율 장비 교체 → 소비전력 37% ↓

소비 부문은 50개 기업의 노후 설비를 고효율 장비로 교체하고, 맞춤형 에너지 컨설팅을 병행해 에너지 소비량을 약 37% 절감했다.

이로 인한 연간 비용 절감 효과는 11억 7천만 원, 탄소 감축량은 2,721톤(tCO2eq) 에 달한다.


MG플랫폼·e-Market 도입…탄소중립 관리 체계 구축

관리 부문에서는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통합 조정하는 MG(Micro Grid) 플랫폼이 구축되었으며, 기업의 RE100 이행을 돕는 e-Market 시스템도 마련됐다.

이는 구미산단 내 전력계통 안정성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관리 체계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DC기반 미래에너지 실증 공간 ‘에너지 테마파크’ 구축

미래 에너지기술 실증을 위한 공간도 주목된다. 동락공원 주차장에는 직류(DC) 기반의 ‘에너지 테마파크’가 조성됐으며, V2G(Vehicle to Grid) 양방향 충방전 설비 10기, 폐배터리 기반 ESS 0.3MWh 등이 설치돼 차세대 에너지 실증 모델로서 역할을 할 예정이다.


공모사업 연계, RE100 선도 도시로 도약

구미시는 이번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부의 에너지 관련 공모사업에도 적극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역 기업들의 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를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인프라 구축은 단순한 설비 보급을 넘어, 구미를 친환경 첨단산업기지로 재도약시키는 초석”이라며,

“앞으로도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구미시와 기업,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신산업정책과

과 장

신주선

팀 장

김동기

주무관

최은혜

054-480-618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