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워드 뷰(Reward View) - 주식회사 디지털 뷰(View)

토마스 0 1,479



(전국=KTN) 이용범기자 =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광고시장의 판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중의 하나는 디지털 광고의 급 부상으로, 국내 광고시장의 성장에 디지털 광고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디지털 광고는 2022년 기준 15조 원의 규모의 한국 총 광고 시장 중에서 과반이 넘는 53.7%, 약 8조 5천억 원을 차지하며 광고시장을 리딩하고 있다.

 

유튜브 등 디지털 동영상 이용 시간 증가로 동영상 광고가 높은 성장을 거두고, 실시간 입찰과 세밀한 타겟팅을 제공하는 포털의 디스플레이 광고가 중소형 광고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는 것이 현재의 광고 트렌드이다.

 

그러나 어떠한 매체를 활용하던 광고주는 언제나 광고비를 지출한 만큼 효율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고민한다. 이러한 광고주의 고민을 반영하여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가 CPA이다. CPA는 Cost Per Acquisition(Action)의 약자로 광고를 목적으로 특정한 행위를 할 때 드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광고비용 300만 원을 사용하여 10개의 유용한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 이 광고의 CPA는 300만 원을 10개로 나눈 30만 원이 된다. 유용한 행위는 구매가 될 수도 있고, 회원가입이 될 수도 있으며, 상담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광고주는 자신의 회사나 상품 등의 광고에 앞서 CPA를 고민해야만 한다. 다시 말하면 비용 대비 효과를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광고주의 입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고비용 항상 제한되어 있다. 무궁무진하게 광고비용을 사용할 수 없기에 내가 내는 광고가 고객을 움직이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좋은 광고인지를 고민해야 하는데, 광고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는 지표가 바로 CPA인 것이다.

 

디지털 광고의 장점 중 하나는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광고의 추적을 통해 사용자가 얼마나 유입되었는지, 사용자의 유형은 어떠한지, 어떤 상품을 고객은 선호하는지 등의 분석을 통해 광고의 효율을 최대한 끌어 올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CPA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광고가 보편 광고가 되어 가는 시점에 수많은 광고 플랫폼들이 우후죽순처럼 출시되어 나름 활발히 사업을 전개 시켜나가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광고 플랫폼들은 광고비용을 독식하며 유저의 관심과 아무런 관련 없이 그저 광고만을 노출시키고 소비자나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에게 아무런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효율이 떨어지고 CPA는 높아지는 것이다.

 

광고 전문 회사인 '주식회사 디지털 뷰(VIEW)'은 기존 광고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며 디지털 광고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신개념의 광고매체를 출시했다. 금번에 '디지털 뷰'사가 출시한 광고매체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광고 플랫폼이다. 광고업에 다년간 종사하며 사장님들이 지출하는 광고비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지, 또한 광고를 보는 시청자나 소비자의 '광고를 보는 노고'를 어떻게 지불하며 또한 디지털 광고의 장점을 활용한 타깃 마케팅의 가능성을 검증한 '이성수' 대표는 이번 광고 플랫폼이 "광고주, 소비자 그리고 광고 시청자 모두에게 유익한 광고 플랫폼"이 될 거라며 2년 내 100만 회원 가입이라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KakaoTalk_20230608_150829648_04.jpg

 

 

새로운 개념의 광고 플랫폼, '리워드 뷰'의 첫 번째 차별성은 무엇보다 사장님이 부담하는 광고비의 부담을 줄이자는 데 있다. 무작정 광고를 노출시킨다고 광고비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액션(구매한 회원가입, 상담 등)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광고비를 지불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CPA를 낮추고 실질적으로 광고비를 지불하는 사장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엄청나게 줄여 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광고주가 부담하는 광고 비용을 소비자와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에게 돌아가도록 한다는 것이다. 홍수처럼 범람하는 광고를 소비자나 시청자는 더 이상 관심을 가지고 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광고업체에서는 어떻게 하면 잠재 고객이나 소비자에게 광고를 보게 하는 냐는 것이 큰 관심사이기도 하다. 이 플랫폼에서는 소비자나 광고 시청자가 광고를 봄으로써 광고주가 사용하는 광고비를 기존 플랫폼처럼 독식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광고를 보는 소비자나 시청자에게 들여주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건전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소비자나 시청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함으로서 광고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세 번째 차별성은 이 플랫폼은 '리워드 뷰' 기능을 통해 광고에 소비자의 직접 참여를 유도하여 광고주와 소비자 모두에게 효율적이고 상호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유저들은 간단한 미션으로 획득된 포인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꿩먹고 알먹고'식으로 좋은 제품 구입뿐만 아니라 광고를 통한 소득 창출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KakaoTalk_20230608_150959998_06.jpg

 

 

 

주식회사 디지털 뷰에서 금번에 출시한 '신개념의 광고 플랫폼, 리워드 뷰'는 간단한 APP '디지털 뷰'의 휴대폰 설치로 사용이 가능하며, 광고주의 경우 리워드 뷰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고객, 광고효과 분석 및 구축이 가능하여 높은 매출 증진을 위한 광고 전략 수입이 가능한 장정을 가지고 있어 CPA를 최대한 낮춘 비용 대비 최고의 광고 효과 누릴 수 있다. '주식회사 디지털 뷰'에서는 본 플랫폼의 빠른 보급과 활성화를 위해 지역을 담당할 전국 지사를 모집하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