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IT]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2023년 바이오제약사 라이센싱 거래 특징 분석

사회부 0 653

스크린샷 2024-01-12 074451.png

 

(전국= KTN) 김경록 기자= 11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J.P. Morgan에서 ’23년 12월 발간해 ‘24년 1월 5일자로 공개한 내용을 정리해 알렸다.

 

글로벌 바이오제약사의 라이센싱 파트너십 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2021년 이래 거래건수는 줄고 있으나 2023년 4분기에 ADC 개발 협업으로 거래 금액이 급증했다.

 

2023년의 경우도 분기별 거래 건수 감소가 계속됨. 4분기에는 108건으로 3분기 115건보다 감소함. 반면, 거래금액 면에서 2023년 4분기 금액은 총 630억 달러에 달해 최근 5년간 분기별 거래금액에서 최대치를, 선급금도 82억 달러에 달해 최대 치를 기록했다.

 

4분기에 거래금액이 급증한 것은 특히, 2023년 10월에 머크(MSD)가 다이이찌 산쿄와 선급금 40억 달러를 포함해 최대 220억 달러에 달하는 3개의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대한 개발 및 판매 계약 체결에 따른 영향이 컸다. 

 

다만, 이런 특이하게 큰 거래를 제외하더라도 4분기는 3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질환분야는 항암제, 모달리티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라이센싱 활동이 가장 활발했다.

 

2023년 한해 질환분야에서는 항암제가 총 861억 달러의 거래금액으로 가장 컸으며 두 번째 신경계질환 211억 달러와 세 번째 심혈관계질환 103억 달러와도 큰 격차를 보였다. 

 

모달리티로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거래가 803억 달러로 가장 컸다.

 

특히 모달리티에 있어 ADC에 대한 라이센싱 거래금액은 크게 상승한 반면에, 세포· 유전자 치료제는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형 제약사들은 투자에 대한 리스크 완화 차원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 보다는 ADC를 보다 검증된 기술로 보고 있다.

 

2023년도 ADC 라이센싱 거래 건수는 35건으로 2022년 보다는 적었으나 ADC에 대한 거래 금액은 430억 달러에 달해 2022년 233억 달러에 비해 크게 증가함. 선급금 또한 46억 달러로 거래 금액 및 선급금 규모 면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세포·유전자 치료제 라이센싱 거래 건수는 2022년 69건에서 2023년 67건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총 거래금액은 2022년 294억 달러에서 2023년 142억 달러로 50%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대형 제약사들의 디-리스크(de-risk) 전략은 신약개발 단계별 거래 현황에서 나타나고 있다.

 

2023년 한해 대형 제약사들은 기술거래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개발 초기 단계보다는 중후기 단계의 거래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에서의 라이센싱은 대형 제약사에게는 가장 리스크가 크지만 이후의 개발 전 과정을 컨트롤 할 수 있고 개발 성공에 따른 잠재적인 이익도 가장 크게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제약사들의 R&D 라이선스 계약을 개발 단계별로 보면, 초기 후보물질발굴 (Discovery) 단계에서의 거래는 2022년 84건이었으나 2023년은 51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비임상 단계 또한 2022년 12건에서 2023년 10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임상 1상에서의 거래는 2022년 8건에서 2023년 15건으로 크게 증가했고, 임상 2상 및 3상에서 거래 비중도 소폭 증가했다.


 

스크린샷 2024-01-12 074500.png

참고자료 2023 Annual Biopharma Licensing and Venture Report, J.P. Morgan, 2023.12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http://www.youtongmart.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