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9월 유엔 안보리서 AI 고위급 회의 주재…‘국제 평화와 안보’ 논의 선도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글로벌 평화와 윤리의 미래를 논하다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인공지능(AI) 관련 고위급 공개회의를 직접 주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한국이 9월 한 달간 안보리 순회 의장국을 맡는 가운데, 대한민국 대통령이 의장석에 앉아 회의를 주재하는 첫 사례라 큰 의미가 있다. 이번 회의는 9월 23일부터 시작되는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일반 토의 기간에 맞춰 유엔 본부가 있는 뉴욕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크다.

 

 

스크린샷 2025-09-01 064643.png

 2025년 3월 2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이 인공지능(AI) 주제 대담 현장

 

 


미국 비영리 연구기관 안보리 리포트(SCR)는 이 대통령이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를 주제로 AI 기술의 다각적 위험과 기회를 조명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할 것으로 내다봤다. AI 분야의 산업계와 학계를 대표하는 전문가가 초청돼 기술적 전문성과 정책적 논의를 함께 다룰 예정이며, 이는 글로벌 협력과 규제, 윤리 문제를 함께 심층 탐구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3월 세계적인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와의 대담에서 AI가 인류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두 사람은 AI 혁명이 노동 시장과 경제 구조에 가져올 불확실성과 양극화 심화, 일자리 감소 가능성에 우려를 공유했다. 하라리는 “AI 혁명은 단시일 내 완성되는 사건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변동성이 큰 과정”이라며, “사회 안전망과 평생교육 시스템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 또한 “AI 기술 발전으로 극심한 불평등과 양극화가 우려되며, 국가 차원의 공공 투자와 수익 재분배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측은 AI 윤리와 규제 문제도 중요하게 다뤘다. 하라리는 “AI가 인간과 달리 스스로 판단하고 속일 수 있는 에이전트임을 인지하고, 사회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엄격한 규제와 신뢰 구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도 “AI 기술 발전을 막는 과도한 규제는 피해야 하지만, 정부는 산업 현장의 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국민 모두가 AI 활용법을 익힐 수 있게 충분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AI 기술이 청년 세대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정보 왜곡 문제, 그리고 미래 사회가 직면할 정신적·사회적 문제 등에 대해서도 두 사람은 해결책을 모색했다. 특히 비판적 사고 양성, 인문학적 소양 강화, 그리고 사회 전체적인 AI와 알고리즘 편향성 문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처럼 이재명 대통령은 AI에 관한 국내외 심도 있는 논의를 바탕으로 유엔 안보리에서 AI 문제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한 고위급 공개회의를 주재하며, 글로벌 AI 정책과 윤리·안전 문제에 대한 균형 잡힌 리더십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이번 기회를 통해 AI 분야에서 국제 협력과 공공 이익을 선도할 국가적 위상을 확고히 할 전망이다.


이번 유엔 안보리 회의가 AI 시대에 따른 불확실성과 위험을 관리하며 인류 모두의 이익과 평화를 추구하는 글로벌 대화의 장으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