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36억 ‘유교 아방궁’ 사유화논란, 언론사 교육장으로 둔갑… 16년째 ‘공사 중’


‘영남유교문화진흥원’과 ‘매일신문사 교육장’ 하나의 간판 걸려

감시카메라 경고문과 ‘공사 중 관람객 안전사고 주의’… 모순과 기만으로 가득 찬 철옹성

보조금 목적 외 사용 명백… 구미시·경상북도, ‘직무유기’ 비판 속 법적 책임론 부상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구미시민의 혈세 36억 원을 지원받아 건립된 (사)영남유교문화진흥원이 16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일반 시민의 출입을 반기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특정 언론사의 교육 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3_f0hUd018svc1g5l6d1zzth0z_tg3zvl.jpg

 

 ‘공사 중’이라는 이유로 시민의 발걸음을 되돌리게 만드는 그 문 안에서는 선별된 이들만의 행사가 이뤄지고 있었던 것이다. 보조금의 목적 외 사용이 명백해지면서, 수년간 이어진 비판에도 사실상 이를 방치해 온 구미시와 경상북도를 향한 법적 책임론과 함께 보조금 환수 조치를 단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두 얼굴의 간판’과 ‘기이한 경고문’


2025년 8월 10일, 본지가 직접 찾은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입구의 풍경은 여전히 '공사 중' 기만 그 자체였다. 특이한점은 진흥원의 공식 명칭인 ‘(사)영남유교문화진흥원’과 ‘매일신문사 교육장(敎育場)’이라는 하나의 간판이 버젓이 걸려 있었다. 교육장(敎育場)은 말 그대로 ‘교육을 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시민을 위한 문화 공간이 사실상 특정 언론사의 사적인 연수 및 교육 시설로 사용되고 있음을 스스로 드러낸 셈이다. 매일신문은 2022년 3월 17일 영남유교문화진흥원 노진환 회장이 대주주인 코리아와이드에게 매각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3_g0hUd018svcslv5v8j9h5cw_tg3zvl.jpg

16년 째 정비되지 않은 입구 전경

 

 

더욱 기이한 것은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초입에 세워진 경고문이었다. 흰 표지판에는 “이 지역은 관공서(경찰서, 파출소) 감시 카메라 녹화지역입니다”라는 위압적인 문구와 함께, “현재 공사중이므로 관람객들은 안전사고(낙상/미끄럼상)에 주의하여 관람하시기 바랍니다”라고 적혀있다. ‘공사 중’이라면서도 ‘관람객은 안전사고에 주의하라’는 모순된 문구는 이곳에서 벌어지는 비상식적인 운영 실태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일반 시민의 접근은 차단하되, 허락된 ‘그들만의 관람객’이 존재함을 실토하는 증거다.

 

d_20gUd018svcq8uc59uzgfzl_tg3zvl.jpg


16년의 약속 파기, 그들만의 ‘아방궁’으로


영남유교문화진흥원은 노진환 회장의 개인 사유지 위에 세워졌으며, 2009년부터 ‘시민 개방’을 조건으로 경상북도와 구미시로부터 36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은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그러나 16년이 지난 지금까지 ‘공사 중’이라는 해묵은 핑계로 시민과의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버렸다.

 

e_30gUd018svcu8nhy2fxwpl1_tg3zvl.jpg


그사이 이곳은 철저히 사유화됐다. 인터넷상에서 '영남유교문화진흥원'에 대한 검색을 해보면 '시민에 대한 개방'이라는 내용은 찾아 볼 수 없으며 단지 2024년 의성군 특정 단체의 방문에 이어, 이제는 특정 언론사의 교육장으로까지 활용되고 있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시민을 위한 문화 공간이라는 건립 명분은 완전히 빛을 잃었다. 이는 명백한 보조금 목적 외 사용에 해당할 수 있어, 보조금 환수는 물론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책사업 그늘 뒤, ‘특혜성 예산’의 민낯


특히 이 보조금은 2조 원대 국책사업인 ‘3대 문화권 사업’과는 무관하게, 경상북도와 구미시가 별도로 예산을 편성해 지원했다는 점에서 ‘특혜성 지원’ 의혹을 더욱 짙게 한다. 정상적인 심의와 평가를 거쳤다면 개인 사유지에 세워지는 시설에, 이처럼 불투명한 방식으로 수십억 원의 혈세가 투입될 수 있었겠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역 법조계 전문가는 “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다른 용도로 사용한 것이 명백하고, 교부 조건인 ‘시민 개방’을 공사 중이라는 이유로 위험을 방치한채 16년째 정상적으로 이행하지 않은 것은 보조금 교부 결정 취소 및 환수 명령의 명백한 사유”라며 “감독 기관인 구미시와 경상북도가 이를 인지하고도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면 직무유기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16년의 기다림은 배신으로 돌아왔다. 시민의 공간이어야 할 곳은 위압적인 경고문과 사유화된 것처럼 보이는 언론사의 교육장이라는 간판 아래 그들만의 철옹성이 되었다. 이제 공은 구미시와 경상북도, 그리고 사법 당국으로 넘어갔다. 잠자고 있는 36억 원의 혈세를 회수하고, 법과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만이 실추된 행정의 신뢰를 회복하는 유일한 길이다.

 

9_h0gUd018svchyrej9s2f5l5_tg3zvl.jpg

 

a_a0gUd018svc1t9sdih1c1cu2_tg3zvl.jpg

 

a_i0gUd018svcfh5ag7fzymd9_tg3zvl.jpg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