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언론사에만 쏟아부은 1억대 홍보비, 선거 때 '우호적 여론조사'의 대가였나?
자체 기준마저 무시한 '고무줄 예산', 시민 혈세는 시장의 '쌈짓돈'이 아니다.
'언론 길들이기'를 넘어 '위법' 소지로… 이철우 지사 의혹, 구미시에서 재현되나?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최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언론사 특혜 의혹' 압수수색으로 지자체 언론 홍보비 실태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김장호 구미시장의 '편향된' 언론 홍보비 집행 내역이 공개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홍보비가 특정 언론사에 집중적으로 편중 지원되면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잃고 언론 길들이기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다.
2024년 1월 2일 구미시 신년기자간담회,윤봉금 대기자의 구미시 언론홍보비 관련 질의 현장(영상)
최근 경북경찰청은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관사를 압수수색했다. 2022년 포항에서 열린 한 언론사 행사에 경북도가 보조금을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특혜 의혹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당시 경북도청 기획조정실장이었던 김장호 현 구미시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미시의 2025년 홍보비 지출 현황과 2024년 특정 언론사 편중 지원 사실이 드러나면서 '제2의 이철우 사태'가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3억 의회 홍보비 집행률 21%… 홍보담당관실은 50% 넘어
본지가 입수한 '2025년도 구미시 홍보비 지출 현황'에 따르면, 일부 부서의 비정상적인 예산 집행 실태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구미시의회 의정 홍보 활동 예산은 13억 원이 넘는 거액이 편성됐지만, 집행률은 21%에 그쳤다. 반면, 홍보담당관이 직접 관할하는 '생동감 있는 시정 홍보', '도시 홍보', '뉴미디어를 통한 시정 홍보' 사업은 각각 54%, 57%, 50%의 높은 집행률을 보였다.
전체 현황 링크 참조
이는 홍보 예산 집행의 주도권이 사실상 홍보담당관실에 집중되어 있으며, 시장의 의중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구조임을 시사한다. 실제로 2024년 10월 말 기준 구미시 홍보비 지출 내역을 보면 특정 언론사에 대한 '몰아주기' 정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TBC 방송사는 1억 3천 3백 70만 원의 홍보비를 수주한 반면, 대구 MBC는 2천만 원에 그쳤다. 매일신문 역시 1억 8백 90만 원이라는 거액을 받았다.
선거 때 여론조사 '보은' 의혹… "위법성 짙어"
문제는 이러한 편중 지원이 단순한 홍보 효과의 차이를 넘어, 지난 지방선거와의 연관성 의혹으로까지 번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유통신문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TBC는 구미시장 여론조사를 시행해 김장호 예비후보가 2위까지 오르기도 했고, 근소한 차이의 유력 예비후보들이 경선에서 배제되어 논란을 일으킨 사실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는 특정 언론사가 선거 과정에서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해준 대가로 홍보비를 수주한 것이 아니냐는 '보은성' 거래 의혹을 낳기에 충분하다.
구미시는 자체적으로 '홍보비 집행 기준'을 마련해두고 있다. 여기에는 매체 파워(열독률, ABC 부수), 포털 연계, 구미 홍보 기사 건수, 자체 기사 및 현장 취재 비율 등 객관적인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드러난 홍보비 집행 내역은 이러한 기준이 철저히 무시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정 매체에 편중된 구미시 홍보비 1위부터 89위까지(2024년 10월 31일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집행은 행정절차법 및 예산회계법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구미시가 자체 기준을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홍보비를 집행했다면 이는 명백한 법규 위반이며, 책임자는 직무유기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실제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비판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광고 집행을 중단하는 등 행정광고비를 언론 통제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시민 혈세, 시장 쌈짓돈 아니다"… 투명한 공개와 제도 개선 시급
디지털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영향력이 막강해진 시대에, 구미시는 여전히 특정 방송사와 신문사에 의존하는 낡은 홍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몰이해일 뿐만 아니라, 예산 낭비의 전형적인 사례다.
지방자치단체의 홍보비는 단체장의 치적을 홍보하거나 우호적인 언론을 관리하기 위한 '쌈짓돈'이 아니다.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시정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건전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쓰여야 할 소중한 혈세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특정 언론사에 홍보비를 편중 지원했다는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히 해명해야 한다. 또한, 구미시는 지금이라도 논란의 소지가 있는 홍보비 집행을 전면 재검토하고, 시민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집행 기준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조례 제정 등을 통해 홍보비 집행 내역을 의무적으로 공개하고, 외부 기관의 감사를 통해 예산 낭비를 막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시민의 감시와 견제만이 '세금 유착'의 고리를 끊고, 지방자치의 풀뿌리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유일한 길이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