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관련 구미시장 발언 언론보도 왜곡, 구미시 강력히 반박

사회부 0 278

thumb-20220801160425_hhrarbhu_600x337.jpg

8월 1일 김장호 구미시장 취임 한달 출입언론 기자간담회 현장(지난 기사 바로가기 클릭)

 

 

「구미시장 (대구에) 물 못준다는 말은 언어도단」  일부 언론 보도(8. 9.) 관련

대구 취수원 다변화 사업 관련 일부 언론 보도의 내용 사실과 다르다 주장


(전국= KTN) 김도형 기자= 구미시는 지난 8일 연합뉴스 「홍준표“구미시장 (대구에) 물 못준다는 말은 언어도단”」이라는 제목의 기사와 관련해 사실과 다른 부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반박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홍준표 대구시장이 8일 대구 취수원 다변화 사업에 난색을 보이는 김장호 구미 시장에게 강한 유감을 표했다며‘낙동강 물이 오염된 근본 원인은 구미공업단지가 애초에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기 때문' ‘(구미에서) 하류의 물을 오염시켜놓고 상류에 상수원을 좀 달라고 하니까‘된다, 안된다’ 고 하는데 그것은 언어 도단이다’라는 홍준표 시장의 말을 인용해서 보도했다.


이에 구미시는 김장호 구미시장이 대구 취수원 다변화와 관련하여 물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적이 없음을 밝혔다.


 다만, 구미시는 지난 8월 1일 구미시청에서 가진 취임 1달 기자간담회에서 김장호 구미시장은 “물은 우리 모두의 공유자원이고 귀중한 자산이다. 대구시민이든 구미시민이든 깨끗한 물을 먹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언급한 사실이 있음을 알렸다.

 

 또한, 구미시장이 대구시민과 구미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지금의 해평취수장에서 김천에서 흘러오는 감천지류의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는 것을 제안하면서 이는 추가비용을 최소화하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제시했다고 구미시는 밝혔다.


한편, 구미시는 지난 정부에서 4월에 체결한 협정서는 당초 시민동의를 거쳐 체결키로 한 협의정신을 위반하고 구미시민이나 시의회 동의없이 체결되었기 때문에 형식적 합의에 불과하고, 당시 체결에 참여한 환경부장관, 대구시장, 구미시장은 현재 교체되었고, 경북도지사는 체결에 참석하지 않아서 실질적 실효성도 상실하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심리적․정서적 동의를 거치지 않은 졸속합의이기 때문에 구미 시민을 대변하는 구미시장으로서 이를 다시 검토해봐야 한다는 취지였다는 것이다.


기사에서 언급된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수질과 수계관리를 책임지는 중앙정부인 환경부에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고 판단되며 지금도 구미시는 환경부 법령과 지침을 준수하면서 방류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구미시는 지난 합의서에 따르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한 구미지역 피해는 영원한데 보상에 대해서는 두루뭉술한 허점투성이다. 예컨대 KTX구미역사의 경우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지원이라는 내용만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구미시는 대구와 경북은 한 뿌리이다. 대승적 차원에서 대구시민의 뜻과 바램이 소중하듯이 구미시민의 뜻과 바램도 존중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