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도시녹색댐’9월 준공, 기후변화 선제 대응

사회부 0 379

0117-2 안동시  “도시녹색댐”9월 준공  기후변화 선제 대응-식물재배화분.jpg

 

탈춤공원, 음식의거리, 안동시청, 주요도로에 LID시설 설치

물순환 2차 사업으로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210억원)’ 선정


(전국= KTN) 김도형 기자= 안동시가 도심 내에 “도시녹색댐”을 만들고 있다. 

 

시는 2016년 환경부 물순환선도도시에 선정되어 41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그해 지속가능발전 전국대회에서 “물순환 도시 안동”을 전국 최초로 선포했다.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은 도시화로 형성된 시가지 불투수면 곳곳에 LID(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을 적용해 빗물의 침투, 저류 능력을 회복시켜 강우 유출량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 시키는 사업이다.

 

0117-2 안동시  “도시녹색댐”9월 준공  기후변화 선제 대응-LID시설 종류.jpg

 

0117-2 안동시  “도시녹색댐”9월 준공  기후변화 선제 대응 -탈춤공원 안동형 물순환시스템 조감도.jpg

 

현재 탈춤공원, 음식의거리, 안동시청 일원과 주요 도로변에 공사가 추진되고 있으며 올 9월 준공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탈춤공원과 강변도로에 설치되는 안동형 물순환시스템은 빗물의 재이용, 침투와 더불어 비점오염원 저감, 탄소중립, 열섬완화 등 기후변화에도 대응가능한 독창적인 시스템으로 향후 “물순환 도시 안동”을 알리는 중요한 시설이 될 것으로 보인다.

 

효과로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시범지역의 △불투수면적률은 80.29%에서 68.27%로 12.02% 줄어들고 △물순환회복률은 22.10%에서 39.04%로 16.94% 증가하고, △강우 유출량은 연간 150만 톤이 저감되어 땅속으로 침투, 증·발산되므로 지하수 함유량, 열섬현상 개선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는 지속적인 “물순환 도시 안동”조성을 위한 노력의 결과 환경부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210억원)’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해 올해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하고 2024년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물순환 사업은 수질개선, 기후대응, 탄소중립, 생태복원 등 융복합사업으로 도시 곳곳에 작은녹색댐(식물형 LID)을 분산 배치하여 도심지에 커다란 도시녹색댐을 구축하는 사업”이라 하며 “빗물을 담아 지하로 침투시키고 지상에는 녹색공간을 만들어 물을 품은 도시 ‘물순환 도시 안동’을 조성하겠다”라고 전하였다.


(참고사항)

1) LID(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 개발 지역 내 침투, 증발산, 저류 등의 과정을 재현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들을 분산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관리하는 방법

2) 강우유출량 : 비가 올 때 비점오염원의 수질 오염 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의 양

3) 불투수면적률 : 전체 토지면적 대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지 못하는 불투수면적의 비

4) 물순환회복률 : 개발 전과 후의 빗물의 침투, 유출, 증발산의 비율이 자연상태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

5) 도시녹색댐 : 불투수가 높은 도심지에 LID기법을 이용 지상에 녹색식물(숲)을 지하에 댐을 만드는 친환경 융복합사업 (안동시가 처음 사용한 단어)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