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 의장국 기자회견 현장
천년고도 경주, 글로벌 경제와 문화의 중심 무대였던 APEC 성공기”
“경북도, 지방 주도 협력 모델로 국제행사 새 역사 쓰다”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경상북도는 11월 5일 국립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에서 ‘2025년 APEC 정상회의 성과 브리핑’을 개최했다.
이날 브리핑은 성공적으로 막을 내린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행사의 준비와 운영에 헌신한 도민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인구 25만 명의 지방 중소도시에서 국제행사를 개최한다고 했을 때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말했지만, 천년 문화의 고도 경주와 새마을 정신으로 산업화를 이뤄낸 경북의 힘을 믿었다”며 “이번 APEC이 가장 성공적인 국제행사가 될 것이라 확신했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지난 부산 APEC 대비 두 달 이상 짧은 준비 기간, 세계 정세의 급변, 비상계엄 사태 등 도전적 여건 속에서도 경북도는 흔들림 없이 현장을 지켰다”며 “예비비를 투입해 교통·수송·의료 등 전 분야 기본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지방과 중앙의 협력모델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 주도로 80차례의 협의와 100여 회의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며 “도지사실을 경주로 옮겨 46일간 상주하며 1,000개의 체크리스트를 직접 점검한 결과, 단 한 건의 사고 없이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300일의 짧은 기간 동안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정상회의장과 첨단 보도 인프라를 구축했다.
와이파이7 기반 초고속 네트워크, 최첨단 통번역 시스템 등 ICT 인프라를 갖춘 국제미디어센터는 4,000명의 국내외 기자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행사 후 통합 컨벤션시설로 재편돼 향후 대한민국 MICE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한미 정상회담(10월 29일)과 한중 정상회담(11월 1일)이 열린 국립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은 전통 한옥 양식의 품격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어, 역사와 현대가 어우러진 대표 외교 공간으로 주목받았다.
이 지사는 “경북도의 전략적 제안과 시민들의 열망이 이 공간을 세계정상 외교의 상징으로 만들었다”며 “앞으로도 K-컬처와 경주의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리는 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문단지, 명품 관광단지로 재탄생
보문단지 내 숙박시설은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 민간의 자발적 참여로 시설 개선을 추진했다.
APEC을 계기로 171km의 도로 정비, 간판 교체, 꽃길 조성 등이 이루어지며 경주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로 탈바꿈했다.
야간경관 프로젝트를 통해 ‘낮보다 밤이 더 아름다운 경주’가 조성되었으며, 보문호 일대에 미디어폴과 상징 조형물이 설치되어 야간관광 활성화의 기반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등 1,700여 명의 경제인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는 90억 달러, 경북도는 3조8천억 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거두었다.
이 지사는 “행사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경북 경제가 세계로 진출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K-테크 쇼케이스에서는 삼성전자의 ‘트라이폴드’ 스마트폰, LG전자의 투명 무선 OLED TV가 최초로 공개되며 국내외 큰 관심을 모았다.
경북도는 몽골과 탄소감축 MOU를 체결하고, 캐나다 퀘벡주와 AI·에너지 협력 협약을 체결하는 등 지방정부 외교의 폭을 넓혔다.
이 지사는 “지방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실질적인 경제·문화 교류를 추진해야 주민의 삶이 더 풍요로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APEC 기간 중 열린 한복패션쇼, 보문 멀티미디어쇼, K-팝 콘서트 등은 세계 정상과 주요 인사의 찬사를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CEO 서밋 연설에서 “역사적인 도시 경주는 아름답다”고 언급했고, IMF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불국사 방문 후 “경주의 문화와 미용 기술력은 놀라울 정도로 정교하다”고 평가했다.
도민이 만든 성공, 시민이 주역이었다
이 지사는 “행사 유치부터 운영까지 함께한 도민의 헌신 덕에 성공적인 APEC이 가능했다”며 “청결운동, 자원봉사, 교통질서 캠페인 등 시민의식 향상이 경주를 세계관광 중심지로 이끌었다”고 말했다.
또한 324명의 자원봉사자가 회의장, 숙박시설, 문화공연장 등에서 안내와 지원을 담당했다.
경북도는 ‘경주 CEO 서밋 창설’, ‘APEC 문화전당 건립’, ‘신라통일평화정원 조성’ 등 3대 분야 10대 포스트 APEC 사업을 선정하고 추진 중이다.
이 지사는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미래 성장의 모멘텀으로 삼겠다”며 “도민 모두가 함께하는 지속 성장 전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지사는 “260만 도민의 하나 된 에너지가 30억 세계인의 가슴에 울림을 줬다”며 “이번 경북의 성공을 새로운 도약의 밑거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