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상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학술발표
(전국=KTN) 김도형 기자= 의성군(군수 김주수)은 지난 10월 29일 의성조문국박물관 강당에서 내‧외빈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한상의 생애와 업적 재조명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조선시대 의성 출신 인물인 장한상(1656~1724)의 다양한 업적을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한상은 1694년 울릉도 조사 및 『울릉도사적』 저술을 통해 독도와 울릉도에 대한 우리나라의 주권을 확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선통신사, 백두산 정계 조사, 가난한 백성 구휼, 도적 소탕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조선 시대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다. 이번 학술대회는 장한상의 다양한 업적을 발굴하고, 후대에 미친 영향을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자리로 구성됐다.
학술대회는 네 명의 학술발표와 지정토론자 네 명의 종합토론, 방청객 질문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강원대학교 고민정 교수는 “장한상의 가계와 관력, 업적”을 주제로 장한상이 전라병사로 재직 중 가난한 백성을 구휼하고 도적을 소탕한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이어 영남대학교 송휘영 교수는 “장한상의 임술 통신사행 참여 연구” 발표를 통해 장한상이 일본 방문 당시 통신사로 훈련부정 좌막으로 임명되어 일본에서 왜인들에게 두려움을 안겼다는 사료 기록을 소개했다.
세 번째 발표에서는 독도학회 서인원 총무이사가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와 독도에 끼친 함의 연구”를 주제로, 조선 시대 울릉도와 독도 수토의 제도화를 설명하며, 1900년 10월 25일 고종의 칙령이 현재 독도의 날로 지정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했다.
마지막 발표는 이원택 박사(前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가 “장한상의 북한산성 축조 및 백두산 정계 조사 참여 연구”를 통해 장한상의 활약이 울릉도와 독도를 넘어 북한산성과 백두산 경계 조사에도 미쳤음을 실록 기록을 통해 증명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김영수 영남대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지정토론자들이 장한상의 다양한 업적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방청객의 질문이 이어졌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의성 출신 장한상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매우 중요한 자리였다”며, 장한상 관련 고문서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에서 더 높은 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의성조문국박물관, '장한상의 생애와 업적' 재조명 학술대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