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제 해결의 열쇠, 마을기업 지원 다각화

사회부 0 2,154

스크린샷 2024-05-07 153458.png

 

 

모두애(愛) 마을기업 5곳·우수 마을기업 16곳, 우수사례 총 21곳 선정

 민간 유통 플랫폼을 통한 제품 판매, 홍보 등 판로 지원 확대

2024년 선정 마을기업 우수사례, 전국 대표 마을기업

 

(전국= KTN) 김도형 기자= 전라남도 해남군의 ‘해남햇살 영농조합법인’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연매출 9억 원을 돌파했다. 

 

해남햇살 영농조합은 홍감자·절임배추·고추·레드향 등 지역의 우수한 농산물을 제값에 판매하기 위해 판로를 개척하고 홍보를 적극 추진했다. 그 결과 자체 직거래 고객 약 12만 4천 명을 확보했으며, 전국 21개 아파트 부녀회 및 전남 18개 식당과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귀농한 청년에게는 토지·농기계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고령으로 농업을 포기한 농업인 연계하여 청년 농업인이 정착할 수 있도록 뒷받침했다.


경상북도 포항시, ‘동네언니협동조합’은 경력단절 여성 등이 육아와 일을 병행하기 위하여 설립됐다. 

 

카페를 중심으로 케이터링, 문화프로그램 운영, 공간 제공 등 사업을 추진하여 지난해 15개 일자리를 창출하고 약 2억 6천 4백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경력단절 여성뿐 아니라 어르신 생신상 차려 드리기(매월 2회), 청소년 일요 스터디 카페, 어린이 보드게임 강좌, 지역 동아리에 공간 무료 제공 등 지역 공헌활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마을기업은 지역주민이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을단위 창업을 통해 주민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마을 단위 기업을 지칭하며, 지난 2011년부터 시작되어 2023년 기준 약 1,800개가 운영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그동안 마을기업이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양적성장을 이룬 측면을 고려하여 올해부터는 직접적인 보조금 중심의 지원을 지양하고 판로 확대, 홍보 및 컨설팅 등 마을기업의 지원을 다각화한다고 밝혔다.


먼저, 행정안전부는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는 ‘모두애(愛) 마을기업’ 5곳과 ‘우수 마을기업’ 16곳을 선정했다. 

 

‘모두애(愛) 마을기업’은 높은 매출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에 활력을 제공하는 마을기업을 의미하며, ‘우수 마을기업’은 지역문제 해결 등 공공성과 공익적 가치가 높은 마을기업을 말한다. 

 

올해 선정된 정선군·해남군 등 소재 ‘모두애(愛) 마을기업’ 5곳에는 최대 1억 원의 사업비가, 목포시·포항시 등 소재 ‘우수 마을기업’ 16곳에는 최대 7천만 원의 사업비가 지원된다. 

 

사업비는 마을기업의 제품개발을 비롯해 기반시설 구축 등에 사용되어 마을기업의 경쟁력 확보 기반으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는 마을기업에 제품 판매 및 홍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형 민간 유통 플랫폼을 활용하여 마을기업 제품 판로를 확대한다. 

 

 G마켓과 협업하여 매년 2회, ‘G마켓 상생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마을기업 제품을 홍보하고 제품을 판매하는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홈플러스와 협업으로 ‘홈플러스 상생샾’을 운영하여 청년마을기업, 로컬푸드 마을기업 등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행정안전부는 다양한 기업과 협업하여 마을기업 판로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마을기업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좋아할 수 있는 캐릭터와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제품 홍보 등에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스크린샷 2024-05-07 154017.png 

스크린샷 2024-05-07 154032.png

 

 

스크린샷 2024-05-07 154101.png

스크린샷 2024-05-07 154112.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균형발전지원국

책임자

과 장

신일철

(044-205-3421)

기업협력지원과

담당자

사무관

심창우

(044-205-3436)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