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미경실련, 스스로의 무게를 증명하라

사회부 0 446

2eacbceb-fdda-4b85-bea9-16f2dac175e5.png

 

 

 

구미경실련, 신뢰를 잃는다면 존재 이유도 없다


구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구미경실련)은 오랫동안 지역 현안 때마다 성명을 내며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해 왔다. 그러나 최근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단체의 발언은 거세지만, 사실에 대한 검증과 근거 제시에서는 아쉬움이 크다는 지적이다. 시민들은 단순한 정치적 공방이 아니라, 치밀한 분석과 명확한 자료를 원한다.


김장호 구미시장의 부동산 논란은 이를 잘 보여준다. 구미경실련은 “재산의 75%를 서울에 두었다”며 문제를 제기했으나, 김 시장은 곧바로 실거주 목적임을 밝히며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시민단체가 보여주었어야 할 예리한 팩트 검증과 명쾌한 분석은 보이지 않았다. 단체가 강조해야 할 부분은 ‘서울에 집이 있다’는 기계적 사실이 아니라, 재산의 형성과 관리, 증여 과정에서의 적법성과 윤리성이다.


특히 지역사회 일각에서 꾸준히 회자되는 시장 부친의 재산 형성과정, 자녀·배우자에게로의 귀속 여부, 편법 증여·절세 논란 등은 시민들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조사가 필요한 분야다. 배우자 명의 형곡동 건물 역시 투명한 관리 주체가 누구인지 밝혀질 필요가 있다. 만약 명의와 실질 관리가 따로라면 이는 단순한 개인 소유 문제가 아니라 법적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구미경실련은 수년간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해온 단체다. 그러나 그 영향력은 ‘큰 목소리’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신뢰할 만한 자료, 정확한 조사, 공정한 분석에서 비롯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보다 성숙한 자세다. 구미경실련은 단순한 비판 집단이 아니라, 시민의 이름으로 권력을 감시하는 주체임을 다시 각인해야 한다. 그렇다면 해야 할 일은 자명하다. 구호와 감정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제시하고 법적·윤리적 기준에 근거한 논리를 내놓는 것이다. 그래야만 시민단체로서의 무게를 다시 세울 수 있다.


구미 시민사회는 여전히 구미경실련을 주목한다. 이제 그 기대에 응답할 차례다. 섣부른 공세 보다는 자료와 분석으로 말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구미경실련이 책임 있는 시민단체로 살아남을 유일한 길이다.

 

작성: KTN편집부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