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도의원(구미·국민의힘)의 금오산 리프레시 사업 제안 5분 자유발언
케이블카·짚라인 인프라 논란 속, 경북도의 체류형 관광 확충 요구와 대통령의 자연 보호 발언을 중심
금오산 케이블카·짚라인 개발 논의는 단순한 관광 인프라 건설을 넘어, 지역 자연 보전과 균형 발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다. 지난 9월 4일 열린 제357회 경북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김용현 도의원이 금오산 도립공원의 체류형 관광 인프라 확충과 발전 전략 수립을 촉구한 것도 결국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문제는 그 방향이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되느냐에 달려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강원도민과의 타운홀 미팅에서 “자연은 공격받아서는 안 된다”는 지적에 깊이 공감하며, 케이블카 개발이 결국 산의 신비와 매력을 잃게 만든 경험을 무주 덕유산·지리산 사례로 설명했다. 금오산 역시 인위적 시설이 먼저 들어설 경우, 고유의 희소성과 생태 가치는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을 위험이 크다. 접근성을 높여 단기 방문객을 늘리는 방식은 곧장 자연 훼손과 맞닿는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김용현 도의원이 강조한 ‘체류형 관광 인프라’라는 키워드는 대통령이 언급한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단순히 100만이 넘는 관광객이 잠시 머물다 가는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관광객이 평균 숙박일수를 늘려 지역에서 소비와 체험을 이어가는 것이 훨씬 지속 가능한 효과를 낸다. 금오산 개발 전략은 케이블카 같은 대규모 인공시설 대신, 도립공원의 자연·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류형 프로그램, 구도심과 연계한 관광 상품, 생태·역사 기반의 탐방 코스로 추진되어야 한다.
대통령이 지적했듯이, 신도시 위주의 개발은 구도심을 철저히 소외시킨다. 관광 역시 마찬가지다. 특정 관광시설 중심으로 쏠림 효과가 발생하면 구미 도심과 주변 농촌은 상대적 박탈감을 겪게 된다. 따라서 금오산 발전 전략은 구미 구도심 활성화 및 지역 소상공인과의 연계를 전제로 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김용현 도의원의 제안은 단순한 ‘개발 촉구’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지역 정책’으로 변할 수 있다.
결국 금오산 개발 논의의 타당성은 자연 보전·체류형 관광·구도심 연계 발전이라는 세 가지 축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과 경북도의회 제안은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무분별한 인공시설 중심 개발을 지양하고, 장기적이고 균형 잡힌 발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공통된 경고를 담고 있다.
따라서 금오산의 미래는 단기 유원지化가 아니라, 자연이 숨 쉬는 도립공원, 장기 체류형 관광지, 구도심과 상생하는 균형 성장의 모델로 자리매김할 때 비로소 신뢰성과 설득력을 갖출 것이다.
작성자: 김도형 한국유통신문 편집인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금오산케이블카 #금오산짚라인 #도립공원관광 #체류형관광 #자연보전 #경북관광정책 #구미구도심활성화 #금오산개발논란 #지속가능관광 #이재명대통령발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