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비정신’ 말하기 전에, 공공성 훼손 논란부터 해소하라

사회부 0 903

 

KakaoTalk_20250904_150123639.png

제152회 굿모닝! 수요특강 홍보물

 

공공성 훼손에 가려진 ‘선비정신’ 

"지역문화 진흥의 진정한 길은 무엇인가?”

 

오는 9월 10일 구미시청 대강당에서 열리는 제152회 ‘굿모닝! 수요특강’의 연단에 노진환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원장이 선다. 강연 주제는 “야은 길재, 영남사림파 학맥의 뿌리”다. 학문과 정신의 뿌리를 기린다는 취지는 고개가 끄덕여지지만, 그 연사가 과연 그 자리에 설 정당성을 갖추었는가라는 질문을 피해갈 수 없다.


경북유교문화혁신공동대책위원회가 지난 2022년 발족하며 노 원장의 영남유교문화진흥원을 문제 삼은 사실은 아직도 지역의 기억 속에 생생하다. 구미시민 세금 36억 원이 투입된 진흥원은 1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시민들에게 굳게 닫혀 있다. 공공예산으로 지어진 시설이 특정 개인과 일부 단체의 전유물처럼 운영되고 있는 현실은 외면할 수 없는 사안이다. 대책위원회는 노 원장이 이 예산을 전액 반납하거나, 즉시 시민에게 개방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사태는 여전히 미결이다.

 

스크린샷 2025-09-05 085948.png

2022년 4월 20일 발족한 경북유교문화혁신공동대책위원회 발족식 현장

 

더구나 진흥원 부지에는 원래 선산읍 입구에 있던 선덕비 등 문화재가 무단으로 옮겨졌다. 이는 단순 행정 절차에 관한 문제를 넘어, 국민 모두의 공공재인 문화재를 사적 공간으로 이전한 행위다. 이러한 사실은 유교적 가치가 강조하는 ‘공도(公道)’와 극명히 배치된다. ‘선비정신’을 강연할 인물이 정작 공공재를 사유화했다는 비판을 받는 모순적 상황인 셈이다.


이미 구미시 공직감찰에서도 영남유교문화진흥원 건립 과정의 부실은 확인됐다. 보조금 1억5천7백만 원 회수 조치와 간부 공무원 징계는 단순 행정 오류가 아님을 보여준다. 특정 문중과의 이면계약, 임도 설치 특혜, 시민 배제 운영 논란까지, 곳곳에서 공공성 침해가 지적되어 왔다. 이런 대목에서 노 원장은 결자해지를 해야 할 당사자이지, 치적을 자랑할 강연자로 나서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특히 호계서원 위패 복설 사태가 지역 유림사회를 뒤흔들며 자성을 촉구한 것 또한, 바로 이러한 공공성과 절차의 문제 때문이다. 당시 유림 사회는 “위패 봉안은 합의가 될 때까지 후세로 미룬다”는 원칙을 무시하고 무리한 절차를 강행한 결과, 후대에 짐을 남기게 되었다고 반성했다. 지금 필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원칙을 지키지 않은 채 추진된 일은 언젠가 반드시 문제로 되돌아온다.


구미시 수요특강은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적 연단이다. 따라서 단순한 지식 강연 이상의 책무가 요구된다. 논란의 중심에 선 인물이 무대에 서는 것은 시민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다. 이번 강연은 학문 계승의 장이 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행정과 권력, 언론의 얽힘 속에서 공공성이 침식되는 아이러니로 기록될 수도 있다.


구미시가 선택해야 할 길은 분명하다. 혈세가 투입된 시설과 사업은 끝까지 투명하게 관리해야 하며, 시민을 배제한 운영은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된다. 강연의 깊이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연사의 공공적 신뢰다. ‘선비정신’을 기린다는 자리에 공공성 훼손 논란의 주체가 서는 순간, 그 연단은 이미 본래의 의미를 잃는다. 구미시는 지금이라도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기준으로 연사의 자격을 엄격히 따져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오늘날 우리가 되새겨야 할 참된 선비정신일 것이다.

 

글쓴이: 경북유교문화혁신공동대책위원회 홍보 및 자료조사 위원 김도형 발행인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