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보조금이 광고가 될 때”… 지방언론의 본령을 지켜라

사회부 0 651

9c6bd9e5-be1f-4f00-9177-16bc0879a25e.png

 

 

 

구미시의 2024년 행사보조금 집행액은 80억6,500만원이다. 이 중 언론사 명의로 집행된 금액만 8억8,800만원에 이른다. 


조선일보사는 ‘아이행복 해피투게더 경북’에 2억6,000만원, 매일신문사는 ‘흥얼콘서트’와 ‘한글글짓기 경북 공모전’, ‘시민소통문화축제’로 2억5,600만원, 영남일보는 ‘에코랜드 숲체험전’과 ‘녹색자전거 대행진’에 1억5,700만원을 받았다. 경북IT뉴스 6,300만원, 경북매일신문 4,500만원, 대구일보사 4,000만원, 경북도민일보 3,500만원, 중부신문 2,200만원, 경북문화신문 1,000만원이 뒤를 이었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행사보조 전체의 약 11%가 언론사로 흘러간 셈이다.

 

문제는 이러한 ‘보조금 의존 구조’가 언론의 편집 독립성을 위협한다는 점이다. 지자체 예산으로 축제·공모전을 수행하는 순간 비판 보도는 위축되고, 언론이 스스로 주관한 사업을 홍보하면 기사와 광고의 경계는 흐려진다. 시민은 편집의 독립성을 믿기 어렵고, 언론의 공적 사명은 뒤로 밀린다.  

특정 매체에 대한 편중 지원도 지역 미디어 생태계를 왜곡한다. 더구나 일부 사업 금액 합산에서 1,800만원 오차가 지적되는 등 자료의 투명성 문제도 드러났다. 지방보조금은 시민의 세금인 만큼 정산내역과 지급근거를 전면 공개해야 한다.  

구미시는 매체별 수령액과 사업명, 평가·정산 결과를 원문으로 공개하고, 동일 카테고리 중복 지원을 제한해야 한다. 행사보조와 별개로 공익보도와 예산감시 활동을 지원하는 ‘공익저널리즘 펀드’ 도입도 검토할 만하다.  

언론은 권력과 예산을 감시하는 시민의 눈이다. 보조금의 유혹에 본령을 잃는 순간 신뢰는 무너진다. 투명성과 독립성이야말로 지역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마지막 울타리다.

 

Screenshot 2025-11-01 092040.png

구미시 2024년 보조금 집행 내역 보기 바로가기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