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기의 경북, '우리 편'만 찾다간 미래 없다

사회부 0 131


9a60a87e-998f-419a-a29e-985849bac1e2.png

 

 

국민의힘 일색 넘어, '초당적 협상가' 리더십 절실

이철우·이강덕·김정재·주낙영·주호영, 여당과 협력 능력이 차기 도지사 관건

 

경상북도가 존망(存亡)의 기로에 섰다. 통계청이 예고한 2042년 경상북도 인구는 237만명으로 2024년 기준 인구보다 26만 명 감소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지역 소멸이라는 회색빛 미래의 경고등이다. 전국 최고 수준의 고령화율과 주력 산업의 침체는 경북이라는 거함(巨艦)을 좌초시킬 수 있는 암초다. 이런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차기 도백(道伯)의 자리는 그저 그런 행정가나 지역 유지(有志)의 명예직이 될 수 없다. 막힌 혈로를 뚫고 중앙에서 실리를 끌어올 수 있는 '힘 있는 해결사'가 절실하다.


물론 경북은 '보수의 심장'이라 불린다. 역대 선거가 증명하듯, 국민의힘 경선이 사실상의 본선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도는 곳이다. 이 때문에 이철우 현 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재 의원, 주낙영 경주시장, 주호영 의원 등 국민의힘 소속 인물들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들은 신공항 특별법 제정,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 SMR 국가산단 유치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통해 이미 자신의 역량을 입증해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냉정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현재 중앙 정부와 국회 권력의 핵심은 더불어민주당이 쥐고 있다. 도지사가 아무리 장밋빛 청사진을 내걸고 지역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는다 한들, 국회 다수당의 협조와 정부의 예산 지원 없이는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갈 수 없다. 수조 원대 프로젝트는 고사하고 당장 시급한 민생 현안조차 법과 예산의 문턱 앞에서 공허한 메아리로 그칠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차기 도지사를 향한 검증의 잣대는 이제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 '우리 편'이라는 안이한 연고주의나 당내 역학 구도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핵심 질문은 이것이다. "누가 당적과 이념의 벽을 넘어 '적진'이라 할 수 있는 여의도와 정부를 상대로 담판을 짓고 실리를 챙겨올 수 있는가?" 누가 지역의 절박함을 무기로 상대를 설득하고, 때로는 압박하며 경북의 몫을 찾아올 수 있는 '초당적 협상가'인가를 따져 물어야 한다. 후보들 역시 자신이 여당을 상대로 얼마나 성공적인 협상을 이끌어 냈는지 구체적인 성과로 증명해야 할 책무가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에도 던져진 숙제다. 척박한 정치 환경 탓만 하며 비판을 위한 비판에만 머무른다면 존재 이유를 잃게 된다. 지역 발전을 위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고, 중앙당과의 가교 역할을 통해 경북에 필요한 정책과 예산을 견인하는 '책임 있는 여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럴 때만이 지역 정치의 건강한 긴장감이 살아나고, 그 혜택은 온전히 도민에게 돌아갈 것이다.


경북의 미래가 벼랑 끝에 섰다. 이번 선택은 단순히 4년 임기의 도지사를 뽑는 일이 아니다. 정치적 관성을 넘어 생존의 지혜를 발휘할 것인가, '우리 편'이라는 울타리에 갇혀 서서히 가라앉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대 분수령이다. 도민들의 현명하고 냉철한 선택에 경북의 명운(命運)이 걸려있다.

 

작성: KTN편집부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