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C기힉]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이론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이론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이론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매개효과란 무엇일까요?
매개효과는 "왜?" 그리고 "어떻게?"라는 질문에 답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X가 Y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알겠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까요?
그 사이에 무슨 과정이 있을까요?
이런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매개변수(M)'입니다!
매개효과를 일상생활에 비유하면?
???? 햄버거 예시로 이해하기:
X(돈) → Y(배부름)의 관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돈이 직접 배부름을 만들지는 않죠!
X(돈) → M(햄버거 구매) → Y(배부름)
돈이 있으면 햄버거를 살 수 있고, 햄버거를 먹으면 배부릅니다.
Baron과 Kenny의 4단계 접근법
Baron과 Kenny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4단계 과정을 제안했습니다.
1 단계: X가 Y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총효과 c)
"돈이 배부름에 영향을 미치나요?"
2 단계: X가 M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a 경로)
"돈이 햄버거 구매에 영향을 미치나요?"
3 단계: M이 Y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b 경로)
"햄버거 구매가 배부름에 영향을 미치나요?"
4 단계: M을 통제했을 때 X가 Y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지 확인 (직접효과 c')
"햄버거 구매를 고려했을 때, 돈이 배부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줄어드나요?"
매개효과의 종류
???? 완전 매개: c'가 0이 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면)
돈은 오직 햄버거를 통해서만 배부름에 영향을 미침
???? 부분 매개: c'가 감소하지만 여전히 유의하면
돈은 햄버거를 통해서도, 또 다른 방식으로도 배부름에 영향을 미침
현대적 접근법
요즘에는 Baron과 Kenny의 방법보다 부트스트래핑이나 Sobel 테스트 같은 더 정교한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Baron과 Kenny의 이론은 매개효과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더 질문해 주세요! 특정 연구에 적용하는 방법이나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가요?
Reuben M. Baron은 당시 코네티컷 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의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었습니다. 코네티컷 대학교는 1881년에 설립된 미국의 공립연구대학으로, 스토스(Storrs)에 위치해 있습니다.
David A. Kenny는 같은 시기에 역시 코네티컷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두 연구자는 같은 대학의 동료로서 함께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들이 발표한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라는 논문은 심리학과 사회과학 연구에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구분 및 분석 방법에 관한 획기적인 연구로, 수만 번 인용되며 매개효과 분석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StrategicBrandManagement #BrandMarketing #ProfessorKimGwiGon #MarketingLecture #BrandEquity #MarketingStrategy #STPMarketing #BusinessEducation #KumohNationalInstitute #GraduateLecture #MarketingConcepts #ConsumerBehavior #ESGMarketing #CSR #BrandIdentity #BrandAssets
#전략적브랜드관리 #브랜드마케팅 #김귀곤교수 #마케팅강의 #브랜드자산 #마케팅전략 #STP마케팅 #경영교육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강의 #마케팅개념 #소비자행동 #ESG경영 #CSR #브랜드아이덴티티 #브랜드자산
#Baron과Kenny #매개효과 #매개변수 #매개효과이론 #심리학연구 #사회과학연구 #통계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Sobel테스트 #조절변수 #심리학이론 #연구방법론 #데이터분석 #경로분석 #인과관계 #사회심리학 #코네티컷대학교 #논문분석 #과학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