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C기획] 코틀러와 리의 공공 마케팅 이론
코틀러와 리의 공공 마케팅 이론(Theory of Public Marketing)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와 낸시 리(Nancy Lee)의 공공 마케팅 이론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일반 마케팅 vs 공공 마케팅
일반 마케팅이 "이 멋진 신발 사세요!"라고 한다면, 공공 마케팅은 "계단을 이용해서 건강해지세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하나는 제품을 팔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으로 유익한 행동을 '판매'하는 거죠!
코틀러와 리의 공공 마케팅이란?
코틀러와 리는 2007년에 출간한 "Marketing in the Public Sector"(공공 부문의 마케팅)에서 기업 마케팅의 원리와 기법을 공공 부문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쉽게 말해, "착한 일도 멋지게 포장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동참한다"는 것이죠!
공공 마케팅의 주요 특징
대상: 시민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합니다
목적: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이로운 변화 추구
도구: 전통적인 마케팅 4P(제품, 가격, 장소, 촉진)를 공익에 맞게 재해석
실제 예시로 보는 공공 마케팅
상상해 보세요: 정부가 "담배 피우지 마세요"라고만 말하는 딱딱한 캠페인 vs "금연하면 10년 더 젊게 살 수 있어요!"라는 매력적인 메시지가 있는 캠페인,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일까요?
코틀러와 리는 후자처럼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와 현대적인 마케팅 기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공공 마케팅 전략의 6가지 유형
행동 촉진: "오늘 헌혈하면 쿠키를 드려요!"
사회적 마케팅: "헌혈은 3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어요"
공공서비스 마케팅: "우리 도서관의 새 디지털 자료실을 방문해보세요"
파트너십 마케팅: "이 음료수 구매시 1%는 국립공원 보존에 기부됩니다"
커뮤니티 기반 마케팅: "우리 동네 청소 봉사에 참여하세요"
기업 사회공헌 마케팅: "이 기업은 학교 도서관 건립을 후원합니다"
성공적인 공공 마케팅의 비결
시장 세분화: 모든 사람에게 같은 메시지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금연 캠페인"과 "중년 흡연자를 위한 금연 캠페인"은 달라야 합니다.
수용자 중심 접근: "쓰레기를 버리면 벌금 50만원!"보다 "깨끗한 거리에서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어요"가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경쟁 개념: 금연 캠페인의 경쟁자는 담배 회사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흡연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포함됩니다.
실생활 사례
한국의 "따르릉 따르릉 자전거 타기" 캠페인을 생각해보세요. 단순히 "자전거 타세요"가 아니라, 환경보호, 건강증진, 교통체증 감소라는 다양한 혜택을 강조하며 재미있고 기억에 남는 슬로건을 활용했습니다.
코틀러와 리의 공공 마케팅 이론은 결국 "착한 일도 맛있게 포장해야 사람들이 먹는다"는 지혜를 정부와 공공기관에 전하는 것입니다. 시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의무나 강제가 아닌 매력과 혜택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거죠!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는 공공 마케팅 이론을 포함한 그의 대부분의 주요 연구를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의 켈로그 경영대학원(Kellogg School of Management)에서 수행했습니다. 그는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S.C. 존슨 & 손 마케팅 석좌교수(S.C. Johnson & Son Distinguished Professor of International Marketing)로 재직했으며, 마케팅 분야의 권위자로서 현대 마케팅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합니다.
낸시 리(Nancy Lee)**는 코틀러와 함께 공공 마케팅 이론을 연구하고 발전시켰지만, 주로 학술적 교수직보다는 컨설턴트와 실무자로서 활동했습니다. 그녀는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의 다니엘 J. 에반스 공공정책 및 거버넌스 대학원(Daniel J. Evans School of Public Policy and Governance)에서 겸임교수(Adjunct Faculty)로 활동했으며, 사회적 마케팅 분야의 전문가로서 공공 기관과 비영리 단체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습니다.
두 사람은 2000년대 초반부터 공공 마케팅 분야에서 협력하여 "Marketing in the Public Sector"(2007)를 포함한 여러 저서를 공동 집필했으며, 특히 정부 기관이 어떻게 민간 부문의 마케팅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공익을 증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이끌어왔습니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StrategicBrandManagement #BrandMarketing #ProfessorKimGwiGon #MarketingLecture #BrandEquity #MarketingStrategy #STPMarketing #BusinessEducation #KumohNationalInstitute #GraduateLecture #MarketingConcepts #ConsumerBehavior #ESGMarketing #CSR #BrandIdentity #BrandAssets
#전략적브랜드관리 #브랜드마케팅 #김귀곤교수 #마케팅강의 #브랜드자산 #마케팅전략 #STP마케팅 #경영교육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강의 #마케팅개념 #소비자행동 #ESG경영 #CSR #브랜드아이덴티티 #브랜드자산
#프리만 #이해관계자이론 #경영학 #기업경영 #비즈니스전략 #이해관계자 #주주이론 #CSR #ESG #기업의사회적책임 #지속가능경영 #기업윤리 #경영철학 #경영이론 #비즈니스모델 #스타벅스사례 #경제이론 #이해관계자관리 #기업책임 #프리만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