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종자정보기술원
KTN한국유통신문에서 소개하는 약용식물들은 1992년부터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서 유전자원으로 수집 보존, 특성 검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우리 주위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고 이용가치가 있는 것을 골라 기원, 형태, 효능, 재배기술 등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하여 편찬한 '생활속의 약용식물' 책 속의 내용을 인용해 알린 것이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면역력 강화가 화두가 되어 경북도민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국민 누구라도 건강증진을 위한 공익 목적으로 본 내용을 알아야만 할 권리가 있으므로 약용식물 209종에 대한 기원, 성분, 재배기술, 활용 등을 소개하기로 한다..
과명: 뽕나무과(Moracea)
학명: Cudrania tricuspidata(Carr.) Bureau ex Lavallee
생약명: 자목
[기원] 꾸찌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의 목질부(자목). 줄기껍질과 뿌리껍질을 자목백피라 하며, 줄기와 잎은 자수경엽이라 한다.
[다른이름] 자상, 자수, 황상, 산여지
[분포 및 주산지] 황해도 이남의 낮은 언덕이나 마을주변 전답가, 야산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떨기잎나무로 엽액에 가시가 변형된 5~30mm크기의 가시가 있다. 가지에 피목이 발달되어 있고 오래된 수피는 황회색들 띠며 세로로 찢어져 떨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거나 넓은 설저이다. 가장자리는 전연이거나 잎이 크게 3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3~9cm이다. 잎의 모양은 생육장소가 비옥하면 감나무 잎보가 크고 결각도 적으나 바위틈이나 산비탈의 척박지에서 자라는 잎은 작고 결각이 심하며 잎 끝이 꼬리처럼 길게 뻗어난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취과로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붉게 익는다. 산록 양지바른 쪽이나 전답의 언덕에서 자란다.
[성분] 뿌리줄기에 morin, kaempferol-7-glucosider(populinin, stachydrine)가 함유되어 있다.
[사용부위] 목재부, 뿌리껍질, 줄기껍질, 줄기 및 잎을 사용한다.
[채취 및 수치] 연중 채취하여 건조한다. 약재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효능] 껍질에는 보신고정과 양혈서근의 효능, 줄기와 잎은 소염과 활혈의 효능이 있다.
[주치료] 목재부는 부인의 붕증과 혈결을 치료한다. 줄기껍질과 뿌리껍질은 요정, 유정, 객혈을 치료한다. 줄기와 잎은 습진, 이하선염, 폐결핵치료, 관절통, 암종을 치료 한다.
[민간요법] 목질부는 40g에 물, 1,200ml, 줄기껍질과 뿌리껍을은 40g에 물, 1,200ml, 줄기와 잎은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재배기술]
●재배적지
-자라는 특성이 뽕나무와 비슷하며 산록이나 논둑이나 밭둑에서 잘 자란다.
●파종 및 정식
-번식: 종자번식과 삽목번식을 한다.
-파종: 열매를 수확한 후 축축한 곳ㅇ 묻어 두었다가 봄철에 파종한다.
-삽목: 봄철에 눈이 트기 전에 줄기를 잘라서 삽목한다.
●주요관리
-일반적으로 생육이 잘되는특성이 있으므로 특별히 관리를 요하지 않으나 괴실이 달리기까지 5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적절한 재식거리를 유지한다.
●수확 및 조제
-껍질의 채취는 년중 가능하나 가을철에서 겨울철 사이에 채취하여 그대로 썰어 말린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 갈대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 감국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3)] 감초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4)] 강활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5)] 강황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6)] 개똥쑥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7)] 개미취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이 약용식물(8)] 갯기름나물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9)] 갯방풍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0)] 겨우살이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1)] 결명자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2)] 고로쇠나무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3)] 고본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4)} 고삼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5)] 곤약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6)] 골담초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7)] 관중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8)] 구기자나무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19)] 구릿대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0)] 구절초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1)] 궁궁이(토천궁)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2)] 귤나무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3)] 금낭화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4)] 기린초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5)] 긴강남차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황속의 약용식물(26)] 까마중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
[생활속의 약용식물(27)] 깽깽이풀 > 생활건강 > 한국유통신문 (youtong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