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비즈 심층분석(1)] 뱅크샐러드 최신구 리더 "마이데이터 성공의 열쇠, 기술 아닌 '압도적 UX'에 있다…

사회부 0 274


a_2j7Ud018svctamwfwvwkgz5_tg3zvl.jpg

 

 

'2025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교육' 첫 강연… "통합인증 통한 사용자 경험 혁신이 핵심, 이제는 고객 유지 전략이 성패 갈라"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7월 1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5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교육'의 첫 포문은 국내 대표 핀테크 기업 뱅크샐러드의 최신구 리더가 열었다. '마이데이터 기반 기술: 전송/인증'을 주제로 강단에 선 최 리더는 "마이데이터 비즈니스의 성공은 복잡한 기술력 과시가 아닌, 사용자의 불편함을 완벽하게 해소하는 '압도적인 사용자 경험(UX)'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스크래핑의 종말, API 시대의 개막… "안정성이 곧 서비스의 질"


최 리더는 뱅크샐러드가 겪었던 데이터 수집 방식의 변천사를 통해 마이데이터 시대의 본질을 설명했다. 과거 '스크래핑(Scraping)' 방식은 금융사 웹페이지 화면 정보를 프로그램이 '긁어오는' 비공식적 방식으로, 금융사 웹 개편 시 서비스가 멈추는 등 안정성이 크게 떨어졌다. 사용자는 잦은 연결 오류와 ID/PW 분실의 불편함을 고스란히 겪어야 했다.


그는 "정부 주도의 API 방식 전환은 단순한 기술 변경이 아니라, 데이터 비즈니스를 위한 국가 표준 인프라가 구축된 것"이라며 "속도, 정확성,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면서 사업자들은 비로소 '데이터를 어떻게 잘 활용할까'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마이데이터의 심장, '통합인증'… "한 번의 서명으로 모든 금융사를 내 손에"


최 리더가 강연 내내 가장 중요하게 다룬 부분은 바로 '통합인증' 프로세스였다. 그는 "기획자와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마이데이터의 기술적 핵심"이라고 전제하며 복잡한 원리를 알기 쉽게 풀어냈다.


그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이데이터 앱에서 연결할 금융사들을 선택하고 인증서 비밀번호를 한 번만 입력하면, 이면에서는 수많은 API 호출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사용자 동의에 따른 전자서명 생성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한 'CI(연계정보)'를 통한 본인 확인 ▲정보 제공 기관의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접근 토큰'이 발급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최 리더는 "10개가 넘는 금융사 정보를 ID/PW 입력 없이 단 한 번의 서명으로 연결하는 경험은 과거 스크래핑 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혁신"이라며, "이 압도적인 편리함이야말로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동력"이라고 분석했다.


마이데이터 2.0 시대, 새로운 과제는 '고객 유지(Retention)'


최 리더는 올해부터 시행된 '마이데이터 2.0'의 변화가 사업자들에게 새로운 과제를 던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데이터 전송 요구 기간이 최대 5년으로 늘어난 점은 사업자에게 유리하지만, '1년간 앱에 접속하지 않으면 모든 연결이 해제된다'는 조건이 붙었다.


그는 "이제 단순히 데이터를 한 번 연결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고객이 왜 우리 앱을 꾸준히 방문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며, "지속적인 사용자 방문을 유도할 매력적인 서비스와 콘텐츠, 맞춤형 알림 전략 개발이 향후 비즈니스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연을 마무리하며 최 리더는 "성공적인 디지털 서비스는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 기획에서 출발한다"고 재차 강조하며, 기획자와 개발자 간의 긴밀한 소통과 API 명세에 대한 이해를 당부했다. 그의 강연은 마이데이터가 기술의 장벽을 넘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으로 나아가야 함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