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거래사 심층분석(15)] 핀란드는 되는데 한국은 왜 안될까? 데이터 강국으로 가는 길, ‘신뢰’에서 찾아야

사회부 0 15

e_71dUd018svc558im6jc8n5l_tg3zvl.jpg

이혜선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통계학) 특강

 

이혜선 포스텍 교수, 데이터 선진국 핀란드의 사례로 본 데이터 활용의 미래 제시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핀란드에서는 국민 10명 중 1명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와 평생의 의료 기록을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는 데 동의했습니다. 이 자신감은 어디서 나올까요?”


지난 1일, 국가공인 데이터거래사 11기 교육의 마지막 세 번째 강연. 이혜선 포스텍 교수는 데이터 선진국 핀란드의 ‘핀젠(FinnGen)’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데이터 산업의 궁극적인 지향점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졌다.


이날 강연은 데이터 비식별화의 구체적인 사례를 넘어, 사회적 신뢰를 바탕으로 데이터 활용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는 해외 사례를 통해 한국 데이터 산업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시간이었다.


■ “데이터는 보수적, 분석은 공격적” 질의응답으로 본 현장의 목소리


강연은 교육생들과의 활발한 질의응답으로 시작됐다. 이 교수가 제시한 ‘서울시 공유자전거 데이터’ 분석 과제에 대해 교육생들은 출퇴근 시간대의 수요 집중, 계절별 편차 등 날카로운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주말과 평일 데이터가 혼재된 오류를 지적하며, 데이터의 숨은 맥락을 읽어내는 예비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뽐냈다.


국세청의 근로소득 데이터, 건강보험공단의 100만 명 표본 코호트 데이터 등 실제 공공 데이터가 어떻게 비식별화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자, 현업 종사자들의 전문적인 질문이 쏟아졌다. 금융결제원에서 온 한 교육생은 “실무에서는 주민등록번호를 직접적인 결합키로 사용할 수 없는데, 기관마다 보유한 정보가 달라 결합키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며 현장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처럼 생생한 문답은 이론과 현실의 간극을 좁히며 교육의 깊이를 더했다.


■ ‘위고비’와 ‘삭센다’의 탄생 비결, 데이터에 있었다


이 교수는 최근 전 세계를 강타한 비만치료제 ‘위고비’와 ‘삭센다’가 북유럽에서 탄생한 배경에 주목했다. 그는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은 오래전부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개인의 의료 데이터를 연구 자원으로 활용해왔다”며 “이러한 데이터 인프라가 신약 개발의 혁신적인 밑거름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핀란드의 사례는 충격적이었다. 인구 500만 명 중 50만 명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모든 의료 및 유전 정보를 연구에 제공했다. 개인의 의료기록을 한 곳에서 조회하고, 전자 처방전을 발급받으며, 심지어 동일 성분의 저렴한 대체 의약품 정보까지 제공받는 ‘마이 칸타(My Kanta)’ 플랫폼은 데이터가 어떻게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 데이터 강국의 조건: ‘기술’을 넘어 ‘사회적 신뢰’로


이 교수는 “핀란드의 혁신은 기술이 아닌,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회적 신뢰’와 ‘투명한 거버넌스’가 있기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단순히 기술적인 처리나 법제도 정비만으로 이뤄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결국 데이터 거래 활성화와 산업 발전의 열쇠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공익적 목적으로 투명하게 활용할 것’이라는 국민적 신뢰를 어떻게 쌓아 가느냐에 달려있다.


이날 강의는 데이터거래사가 단순한 중개인을 넘어, 기술과 법, 그리고 사회적 신뢰를 아우르며 데이터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남겼다.

 

 

b_91dUd018svc12yyzxr2u54pw_tg3zvl.jpg

 

스크린샷 2024-06-14 172010.png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